• 최종편집 2024-04-18(목)
 

[교육연합신문=김병선 기자]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회장 조희연 서울교육감)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해 ‘교육교부금 쟁점 분석 및 미래교육 수요 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교육재정은 교육의 질을 담보할 원천 동력이라는 점에서 교육재정에 대한 냉철한 분석을 통한 미래지향적인 재정 수요를 예측하고 시시각각 변화하는 상황에 따라 교육재정의 선제적·능동적 대응을 위해 보고서가 작성됐다.


교육감협의회는 지난 9월 22일 대구에서 열린 총회 결의를 통해 김지철 충남교육감을 위원장으로, 울산, 세종, 경기, 충북, 전북교육감을 위원으로 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한 교육감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산하에 정책 TF 팀을 구성해 운영했다. TF 팀은 각 시도교육청의 미래교육수요 전망 보고서를 제출받아 약 5주간의 분석을 통해 보고서를 완성했다.


‘교부금 교육감 특위’가 발표한 교육교부금 관련 쟁점 분석 결과 및 전국시도교육청의 향후 3년간의 미래교육 수요 전망은 다음과 같다.


◯ 교부금 주요 쟁점 사항

【쟁점 1】 학생수 감소에도 교육재정은 증가해야 하는가?

쟁1.JPG


학생수는 줄어도 학급 수와 학교수는 증가했다.  학생수는 2017년 569만 명에서 2021년 532만 명으로 37만 명(△6.6%)이 감소했으나, 학교수는 1만 6357교에서 1만 6710교로 353교(2.2%)가, 학급수는 23만 8958학급에서 24만 3521학급으로 4563학급(1.9%)이, 교사 수도 39만 6114명에서 40만 5095명으로 8981명(2.3%)이 증가했다. 또, 학생 수는 감소함에도 수도권 인구집중화 및 신도시 개발 등으로 과대학교와 과밀학급은 증가했다. 즉 학생수 감소에도 학교·학급·교사 증가에 따른 학교 운영비와 교사 인건비 추가 소요액이 필요해 경직성 고정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다.


【쟁점 2】 일시적 증액 적립된 교육재정 기금, 무엇이 문제인가?

쟁-2.JPG

 

쟁2-1.JPG


지방교육재정 규모 현황 및 추이를 살펴본 결과 앞으로 과도하게 증가하지 않고, 연도별 불용 및 이월액 비율은 계속 감소(이월·불용 비율 : 2020년 5.34%, 2021년 4.37%, 전년대비 약 1.0%P 감소)하고 있으며 중앙정부 및 일반 지방자치단체와 비교해도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기금운영현황.JPG


중앙정부 예산의 급격한 증가로 증액된 예산을 회계연도 말에 편성하면 사업기간 부족으로 상당 부분이 이월·불용이 될 것으로 판단해 교육예산을 효율적으로 집행하기 위해 기금으로 적립했고 시도교육청에서는 교육부의 중기지방재정계획 지침에 따라 기금별, 연도별 집행계획을 수립해 교육기금 적립액이 학생들의 교육환경 개선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2023년 이후 교육교부금의 완만한 증가분(전년대비 1.0%~3.7%)은 인건비 및 학교 운영비 증액분 등에 필요하며 일시 증가한 기금적립액(19.2조 원)은 미래교육 수요에 필요한 재원(62.4조 원)으로 투자하면 이른 시기에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쟁점 3】 대학 예산은 하위권, 초·중등 교육 예산은 상위권?

쟁3.JPG


한국의 2019년 기준 GDP 대비 초·중등학교 정부재원 공교육비 비율은 3.4%로 OECD 최종 재원 평균 3.1%(초기 재원 평균 3.2%)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지만,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이스라엘, 벨기에, 스웨덴, 핀란드 등 6개국은 한국보다 정부재원부담이 높았으며, 오스트레일리아, 덴마크, 콜럼비아, 영국 등 4개국은 한국과 정부재원부담이 같아서 경제 규모 세계 10위권인 우리나라의 현실을 감안하면 초·중등교육 예산이 과도한 것이 아닌 것으로 분석됐다.

고등교육비.JPG


2019년 GDP 대비 고등교육의 정부재원 비율(0.6%)은 OECD 평균 최종 재원 비율(0.9%)보다 0.3%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 GDP 대비 고등교육비의 정부 초기 재원은 0.8%로 처음부터 낮은 비율은 아니었으며 정부 최종 재원이 0.6%로 줄어든 것은 정부 부담이었던 장학금, 학자금 대출이 학생들에게 이전되면서 최종 정부재원에서는 줄어들고 민간재원에서는 늘어나 보이는 착시효과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 미래교육 재정 수요 전망

학령인구 감소를 교육여건 개선의 기회로 삼고, 인적 자본의 역량 제고를 위해 맞춤형 교육과정 제공 등 학교의 질적 혁신이 필요하며, 4차 산업혁명과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갈 인재 양성을 위해 미래교육을 실현하고자 미래교육 수요를 파악했다. 미래교육 재정 수요 부문별 세부 사업 내역은 ①교육복지 확대 및 정서 회복 ②교육여건 개선 ③미래교육 기반 구축 ④포스트코로나 학교 공간 재구조화로 나눠서 필요한 교육예산을 산출했다.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서 미래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재원은 2023~2025년간 총 62조 4000억 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정수요총괄.JPG


◯ 미래교육 주요 사업

미래교육의 주요 사업으로 학부모 부담 없는 완전한 무상 의무교육을 실현하고, 4차 산업혁명과 초연결 시대를 대비한 미래교육 기반을 구축하며, 교육 양극화 해소를 위한 교육복지 확충 및 정서 회복을 지원할 것이다. 더불어 교육 여건 및 시설 개선 사업으로 과대학교 해소, 과밀학급 감축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안전한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지속적 예산투자를 늘리며, 쾌적한 환경을 위해 노후 냉‧난방기기, 교육기자재를 교체해 나갈 것이다.

영역별사업내용.JPG


유아 무상교육으로 국가 책임을 강화하고, 돌봄‧방과 후 학교에 대한 지자체와 교육청의 협력을 꾀하여야 한다. 또한 사회적 합의를 통한 합리적인 교육재정 개편 방안과 고등교육재정 확충을 위한 별도의 재원 확보 방안도 강구해야 할 것이다.


교육감협의회는 교육감 교부금 특위 TF 팀 활동 결과를 바탕으로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대국민 홍보 활동을 전개할 것이며, 유‧초‧중등교육과 대학교육이 함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뤄갈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한 노력도 병행해 갈 예정이다.


교부금 교육감 특위 위원장인 김지철 충남교육감은 “학생수 감소만을 근거로 교육재정 축소를 주장하는 것은 현재 교육이 최적이라는 상태를 가정한 것이며, 기존 누적된 교육투자 결손분을 고려하면 현시점에서 투자 규모 축소는 미래교육의 동력을 잃는 것이다. 학생수가 감소했으니 예산도 줄이자는 요구보다는 담대한 교육투자로 미래교육을 준비하고 교육 여건을 개선하는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

  • 81207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교육감協, “국가책임교육 실현 위해 안정적인 교육재정 확보 필요”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