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8(목)
 
[교육연합신문=전재학 칼럼] 

전재학2.jpg

사회학자 울리히 백(Ulrich Beck)은 현대를 ‘위험사회(Risk Society)’라고 규정하였다.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대문명이 지배하는 현대를 ‘초연결사회’라 규정하듯이 위험사회 역시 모든 게 연결돼 있다 보니 아주 효율적이지만 반면에 위험도가 굉장히 높은 사회를 지칭하는 말이다. 실제로 현대는 매뉴얼로 대응이 안 되거나 예측이 어려운 위험한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이 세계가 매뉴얼을 넘어서거나 무용지물인 상황이 항상 일어날 수도 있는 구조적 위험사회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따라서 우리는 유연하고 종합적이며 전체를 보는 안목을 키우는 교육이 필요하다. 
 
두 가지 사례를 살펴보자. 일본의 후쿠시마는 평소 지진과 쓰나미에 대비해서 세계 최고 수준의 방파제와 방제시스템, 대피 매뉴얼을 가진 지역이었다. 아주 구체적으로 매뉴얼이 준비되어 있고 주민들도 잘 훈련되어 있었다. 그러나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때 발생한 쓰나미에 주민 상당수가 사망했다. 왜냐면 매뉴얼 상황을 크게 뛰어넘는 재난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그때 매뉴얼에서 정한 대피소로 대피하지 않고 상황을 보고서 높은 산으로 간 아이들은 살아남았다. 이 사건으로 우리는 무엇을 인식해야 하는가? 
 
또 하나 2009년 US 에어웨이스 비행기가 허드슨강에 착륙한 사건을 보자. 당시 항공기는 어처구니없게도 이륙 직후 새(bird) 때문에 엔진 두 개가 꺼져버린 상태였다. 그런 긴급 상황에서 강에 착륙한다는 것은 분명히 매뉴얼에 없었다. 그런데 현명한 조종사의 판단력이 작동하였다. 당시 선택지가 없던 상황에서 ‘강에 착륙하면 어떻게 하느냐, 빨리 공항으로 계속 가야 한다’라는 판단으로 일관했다면 결과가 어찌 됐을까? 경험이 많은 기장의 훌륭한 소통과 침착한 대응에 수많은 생명이 살았다. 그 사건으로 ‘싱킹 아웃사이드 더 박스(thinking outside the box)’ 대신에 ‘플라이 아웃사이드 더 박스(fly outside the box)’라는 말이 유행했다. 이것은 박스 안에 갇혀 생각하는 게 아니라 그 바깥을 생각해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의미다. 이는 위험한 상황에서 매뉴얼을 뛰어넘는 생각이다. 이 사건이 주는 교훈은 무엇인가? 
 
반면에 한국 사회를 보자. 2023년 참사 9주기를 맞이하는 지금도 많은 사람의 가슴 속에 깊은 상처로 남아있는 세월호 이야기다. 선박 내에서 구명조끼를 입고 대피하고자 했던 어린 학생들이 ‘그대로 가만히 있으라’는 안내 방송의 지시만 믿고 위험한 상황에 따른 적절한 행동-각자 탈출을 시도하는 자유와 선택-을 취하지 않았던 결과는 수많은 인명피해를 가져온 사건이지 않았던가? 만약 차라리 개별적인 삶에의 의지와 행동을 허용했다면 어떠했을까? 역사엔 가정이 없다지만 이는 낡은 매뉴얼이 작동되지 않는 위험사회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깨우쳐준 소중한 사건이었다. 
 
한국 사회는 너무 빨리 변해왔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 말도 무색할 정도다. 따라서 과거의 매뉴얼 자체가 현대적인 방식의 매뉴얼로 전환이 시급하다. 지난 아현동 KT 지사 화재 사건으로 인한 혼란과 후유증은 또 어떤가. 통신두절 상태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디지털 디톡스’ 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이제 국민의무교육이 된 심폐소생술의 효과를 생각해 보자. 곳곳에서 접하는 절체절명의 위험한 순간에 누구나 몸에 밴 심폐소생술은 언제든 준비가 된 효과 큰 백신이라 아니할 수 없다. 그런 의미에서 최근 이태원 참사는 기본 매뉴얼 조차 무시한 안전에 대한 무책임하고 무능한 결과였다. 결국 문제의 해결책은 교육에 있다. 
 
이제 우리 사회는 교육시스템에서 원칙과 가치를 공유하되 나머지는 개별 주체에게 맡기는 방향으로 진화를 고려해야 한다. 그만큼 ‘위험사회’를 인식하고 대비하며 살아가는 개인의 의지와 선택이 중요한 까닭이다. 여기엔 위험사회를 극복하는 수단으로 책임감과 윤리의식의 병행은 필수다. 이제 위험사회에 대한 국민적 의식과 그에 따른 유연한 대비책은 일상에서 기본 매뉴얼의 준수를 뛰어넘어 고정된 박스(틀) 바깥을 생각해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창의적인 방식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분명하게 인식할 때이다.
 

전재학2.jpg

▣ 전재학
◇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 現인천산곡남중학교 교장
◇ 前제물포고, 인천세원고 교감
◇ [수능교과서: 영어영역] 공동저자
◇ 학습지 [노스트라다무스] 집필진
◇ [월간교육평론], [교육과사색] 전문위원 및 교육칼럼니스트

전체댓글 0

  • 7261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전재학의 교육칼럼] ‘위험사회’와 ‘플라이 아웃사이드 더 박스(Fly outside the box)’ 교육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