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4(수)
 
[교육연합신문=육우균 교육국장] 

1.jpg

오늘은 [사회와 과학(생물)], [사회와 과학(화학)], [사회와 문학(동화)]의 융합적인 글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사회와 과학(생물)]의 융합적인 글이다. 사회에서는 ‘경쟁’의 지식을, 과학(생물)에서는 ‘니치(nichi)’의 지식을 융합해서 매우 창의적인 글을 다룬다. 
 
2006학년도 서울대 정시 논술문제는 “경쟁의 공정성과 결과의 정당성에 대해서 논술하시오.”였다. 서울대에서 제시한 예시답안은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진 합리적인 경쟁 질서 속에서 경쟁의 결과는 정당한 것이다” 였다. 이 답안은 보편적인 답안으로는 인정이 되지만, 창의성의 측면에서는 낙제점에 해당하는 답안이다. 다음에 제시한 글을 보면 왜 우리가 창의융합논술을 배워야 하는지 그 당위성을 알려준다. 다음은 이 문제에 대한 창의융합적인 답안이다. 
 
「딱따구리와 동고비는 같은 나무에서 멋잇감을 구하지만 딱따구리는 나무 위쪽에서, 동고비는 나무 아래쪽에서 먹이를 찾는다. 그래서 서로 싸우지 않는다. 또한 딱새는 같은 먹잇감을 구하지만 이들은 또 각자 자기 영역이 있어서 서로를 침범하지 않는다. 차범근과 차두리는 부자지간으로 함께 축구를 업으로 삼는 집안이다. 그러나 차범근은 차두리가 프랑스 선수인 지단에게 싸인공을 부탁하는 것을 보고 도저히 이해하지 못하겠다는 표정을 지었다. 왜냐하면 2002년 월드컵 때 우리나라와 프랑스는 서로 경쟁하는 관계였기 때문에. 그러나 좀 더 깊이 생각해보면 경쟁이란 함께 추구하는 것이다. 차두리는 그것을 잘 보여주었다. 축구 경기에서는 경쟁 상대지만 평소 차두리는 지단을 축구 선배로서 존경했고 경기가 끝나자 승패와 상관없이 존경의 표시를 한 것이다. 
 
위에서 본 바와 같이 각자 자신의 니치(nichi)가 다르기 때문에 자연의 생태계도 끊임없는 경쟁 속에서도 유지가 되는 것이다. 박태환은 이봉주를 부러워하지 않는다. 서로의 영역(nichi)이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쟁은 초소화되어야 하고, 궁극적으로 경쟁은 상생을 모색하는 경쟁이 되어야 한다.」 
 
다음은 [사회와 화학]과의 융합적인 글이다. 화학의 ‘주석’에 대한 지식과 사회의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 실패’ 지식을 융합하여 쓴 글이다. 
 
「1812년 프랑스 황제 나폴레옹은 64만 대군을 이끌고 러시아 침략을 위한 원정을 떠난다. 프랑스군은 선진적 전술과 강력한 화력을 앞세워 몇 개월 후 손쉽게 모스크바를 점령하지만, 모스크바는 이미 도시의 45% 가량이 러시아 황제에 의해 불태워져 식량을 구할 수 없는 죽음의 도시로 존재할 뿐이었다. 결국 먼 길을 온 프랑스군은 식량을 구하지 못해 많은 군인과 군마가 죽었고 한파로 인해 모스크바에서 퇴각할 수밖에 없었다. 프랑스로 귀환하는 도중 많은 병사들이 얼어 죽었으며, 12월 초가 되자 남은 병력은 1만 명 수준이었다고 한다. 나폴레옹의 모스크바 원정은 승승장구하던 그가 몰락하게 된 시발점이었다. 
 
그런데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 실패는 전선(戰線)이 너무 길고 보급품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주석(Tin)이 패배의 원인이라는 주장도 있다. 당시 프랑스 군복의 단추는 모두 주석으로 만들어졌는데, 겨울 날씨의 낮은 온도에서 단추가 형태 변화를 일으켜 가루가 된 것이다. 추운 날씨에 단추가 없어진 옷은 제대로 보온 기능을 하지 못했고, 결국 프랑스군이 동사(凍死)하는 원인이 되었다는 것이다.」 
 
마지막 글은 [사회와 문학]과의 융합적인 글이다. 사회는 ‘정치’에 대한 지식을, 문학은 ‘동화’에 대한 지식을 요구한다. [동화와 정치]의 융합적인 글을 보자. 
 
「아들이 어렸을 때 자주 읽어주던 ‘돌국(Stone soup)’이라는 유럽 전래 동화가 있다. 지역에 따라 좀 다르게 구전되지만 줄거리는 얼추 비슷하다. 허기진 여행자가 어느 마을에 당도해 집집마다 ‘한 끼 줍쇼’ 하고 구걸했으나 자기들 먹을 것도 없다며 냉대하자 기발한 아이디어를 낸다. 큰 솥을 하나 빌려 물을 한가득 부은 다음 강가에서 큼지막한 돌을 하나 주워다 잘 씻어 솥에 넣고 끓이기 시작했다. 궁금해 모여든 마을 사람들에게 온 마을이 함께 먹을 수 있는 맛있는 돌국을 만드는 중이라며 너스레를 떤다. 그러면서 돌국은 있는 그대로도 맛있지만 감자, 양파, 버섯에 고기와 각종 양념을 보태면 한결 더 맛있을 것이라며 아쉬워한다. 이윽고 마을 사람들이 각자 자기 집에 남아도는 식재료를 가져다 보태면서 맨 돌로 시작한 돌국은 군침이 도는 진국이 된다. 
 
우리나라 정치도 협치하자고 한다. 그러나 협치도 손뼉이 마주쳐야 소리가 나는 법이다. 여당과 야당이 서로 하나씩 주고 받는 ‘타협의 정치’는 진정한 협치가 아니다. 모든 정치 집단이 사사건건 득실만 따지며 정쟁을 일삼는 게 아니라, 자발적으로 힘을 보태 함께 민생을 챙기는 ‘협동의 정치’가 진짜 아름다운 협치다. 
 
정치인들은 한결같이 “오로지 국민만 바라보며 나아간다”고 부르짖는다. 진짜 국민만 바라보는지 이제 국민이 그들을 바라볼 것이다. 설령 대통령과 여당이 덜렁 맨 돌만 집어넣고 돌국을 끓인다 하더라도 제발 이번만큼은 모든 정당이 자진해서 국민이 원하는 식재료를 보태며 함께 진국을 끓여주길 바란다. 허구한 날 싸움만 하는 정치권에 진저리가 난다는 국민의 외침을 결코 허투루 듣지 않기를 바란다. 다음 총선 때까지 누가 협치에 어깃장을 놓는지 또는 소극적인지 잘 지켜볼 것이다. 통 크게 협치하는 정치인을 보고 싶다.」 
 
이렇게 융합한 글을 자세히 보면 내용이 훨씬 지적이고 환상적이다. 각 분야의 죽어 있는 지식을 찾아내어 융합하면 막강한 시너지가 생겨, 마치 ‘절망 속에서 싹트는 희망’을 보는 것 같은 가슴 벅참을, ‘죽음 속에서 피어나는 생명의 움틈’을 보는 것 같은 환상을 보여준다. 21세기에 필요한 융합적인 글은 이처럼 각 분야에서 죽어있는 지식을 살려내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고목에 과실나무 가지를 접붙여 새로운 과일 열매를 따듯이. 
 

1.jpg

▣ 육우균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 교육연합신문 교육국장
◇ 前중앙일보 공교육 논술자문단 자문위원
◇ 前중등교사 임용시험 채점위원
◇ 前영흥고등학교 교감
◇ 前인천미추홀외국어고등학교 교무부장


전체댓글 0

  • 87437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육우균의 깨봉 칼럼] 융합적인 글쓰기 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