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속초26.0℃
    흐림27.6℃
    흐림철원28.2℃
    흐림동두천28.4℃
    흐림파주29.0℃
    흐림대관령22.4℃
    흐림춘천27.7℃
    구름조금백령도28.8℃
    흐림북강릉25.4℃
    흐림강릉26.6℃
    흐림동해25.8℃
    흐림서울28.7℃
    박무인천27.8℃
    흐림원주27.3℃
    흐림울릉도26.8℃
    흐림수원27.0℃
    흐림영월25.1℃
    흐림충주26.5℃
    흐림서산25.4℃
    흐림울진26.4℃
    흐림청주27.5℃
    흐림대전27.5℃
    흐림추풍령25.8℃
    흐림안동27.6℃
    흐림상주26.8℃
    구름많음포항27.0℃
    흐림군산27.0℃
    흐림대구29.8℃
    비전주28.8℃
    구름많음울산28.2℃
    흐림창원26.9℃
    비광주24.1℃
    흐림부산29.0℃
    흐림통영27.1℃
    비목포23.5℃
    비여수24.9℃
    비흑산도24.9℃
    흐림완도24.6℃
    흐림고창25.2℃
    흐림순천24.5℃
    비홍성(예)25.4℃
    흐림26.4℃
    비제주25.2℃
    흐림고산24.5℃
    흐림성산25.3℃
    비서귀포26.2℃
    흐림진주25.0℃
    구름많음강화28.8℃
    흐림양평26.7℃
    흐림이천27.0℃
    흐림인제25.6℃
    흐림홍천26.7℃
    흐림태백23.5℃
    흐림정선군25.1℃
    흐림제천24.4℃
    흐림보은26.1℃
    흐림천안25.4℃
    흐림보령27.5℃
    흐림부여27.2℃
    흐림금산27.0℃
    흐림26.6℃
    흐림부안26.8℃
    흐림임실25.3℃
    흐림정읍26.5℃
    흐림남원26.3℃
    흐림장수24.6℃
    흐림고창군25.2℃
    흐림영광군24.1℃
    흐림김해시28.5℃
    흐림순창군25.2℃
    흐림북창원29.5℃
    흐림양산시30.1℃
    흐림보성군24.6℃
    흐림강진군24.4℃
    흐림장흥24.5℃
    흐림해남24.8℃
    흐림고흥24.0℃
    흐림의령군27.3℃
    흐림함양군28.3℃
    흐림광양시25.3℃
    흐림진도군24.1℃
    흐림봉화25.4℃
    흐림영주25.8℃
    흐림문경26.1℃
    흐림청송군29.5℃
    흐림영덕26.6℃
    흐림의성29.2℃
    흐림구미29.0℃
    흐림영천28.6℃
    흐림경주시29.7℃
    흐림거창26.8℃
    흐림합천28.0℃
    흐림밀양30.7℃
    흐림산청27.0℃
    흐림거제25.8℃
    흐림남해25.4℃
    흐림30.0℃
  • 최종편집 2025-08-11(월)
 
[교육연합신문=육우균 칼럼] 
나이가 이순에 닿자 작은 것들이 예뻐 보인다. 산책하는 중에 어린아이가 보이면 나도 모르게 입가에 미소짓는다. 풀들 사이에 피어 있는 이름 모를 작은 꽃들에 눈길이 가는 것은 아마 나이 탓인가 싶다. 이순의 나이에는 자연에 순응하라는 신의 배려인가 보다. 큰 것보다는 작은 것에, 높은 곳보다는 낮은 곳에, 승자보다는 패자에게 애틋한 마음이 간다. 
 
송알송알 싸리잎에 은구슬
조롱조롱 거미줄에 옥구슬
대롱대롱 풀잎마다 총총
방긋 웃는 꽃잎마다 송송송

고이고이 오색실에 꿰어서
달빛 새는 창문가에 두라고
포슬포슬 구슬비는 종일
예쁜 구슬 맺히면서 솔솔솔
        (하략) 
 
권오순 선생님의 ‘구슬비’라는 시다. 동요로도 널리 알려진 노래다. 청정한 삶을 살아온 시인의 마음이 잘 나타난 시다. 특히 '송알송알', '송송송(솔솔솔)'이 주는 7음절의 시어는 수정과도 같은 깨끗한 속성을 지니고 있다. 마치 시어를 동심의 바다에 빠뜨렸다가 끄집어낸 것과 같은 맑음을 준다. 내가 초등학교 시절에 등교하면서 늘 부르던 노랫말이다. 그땐 몰랐는데 나이가 들수록 점점 이 노래의 가사에 빠져든다. 
 
작은 것이 만드는 거대한 세상에 대해 생각했다. E.F 슈마허의 『작은 것이 아름답다』라는 책에서 “하나뿐인 지구를 구할 수 있는 유일한 해결책은 미니멀리즘(minimalism)이다. 작은 것은 자유롭고 창조적이고 효과적이며, 편하고 즐겁고 영원하다”라고 했다. 
 
작고 보잘것없는 것에 눈길이 가고 그런 환경에서 핀 풀꽃에 애틋한 시선이 간다. 특히 잡초가 그렇다. 잡초는 있어 봐야 아무 쓸모도 없으니까 다 없애버리는 게 좋지 않으냐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잡초는 인간과 한 공간에서 살도록 태어난, 본래부터 공생할 수밖에 없는 식물이다. 잡초가 잡초답게 살 수 없는 세상에서 인간이 어떻게 인간답게 살 수 있겠는가? 인간이 정해놓은 평가 기준에 따라 좋다 나쁘다고 분별하기보다 다양성이 풍부한 쪽을 선택하고 그렇게 사는 삶의 방식을 우리는 겸허하게 받아들이지 않으면 안 되겠다. (출처: 이나가키 히데히로, 『풀들이 전략』) 
 
가이아(초기의 지구)는 잡초에 의해 아름다워지고, 인류에 의해 황폐해졌다. 가이아의 입장에서는 인간이야말로 잡초다. 알프레드 크로스비(Alfred W. Crosby, 미국의 역사학자)는 “잡초는 지구의 건강에 긴급사태가 생기면 달려가 처리하는 식물계의 적십자다. 그리고 자기보다 크고 튼튼하게 자라는 나무에게 자리를 양보한다.” 결국 잡초는 가이아의 백혈구이자 항생제다.

사람들아
잡초라고 함부로 짓밟지 마라
쇠뜨기 명아주 애기똥풀
개망초 며느리배꼽
식물도감에 버젓이 올라 있는
고향을 지키는 민초들이다.
거친 산야 살찌게 하는
우리는 꽃이다.
한 송이 꽃도 피우지 못하는
사람들이 잡초다.
(김종익 시인의 「잡초」) 
 
어쩌면 잡초가 인간보다 훨씬 나은 삶을 사는지도 모른다. 잡초는 말 그대로 잡다한 풀(雜草)이다. 그래도 사람들에게, 짐승들에게 짓밟혀도 꿋꿋이 일어나 자신의 꽃을 피우며 들판을 푸르게 한다. 인간은 자연을 어지럽히고 온갖 쓰레기를 만든다. 지구의 입장에서 누가 더 나을까? 
 
앞으로 [풀꽃 산책] 칼럼에서는 잡초 같은 풀꽃들의 렌즈를 통해 인간들의 삶에 대한 사색과 성찰을 펼치겠다. 아울러 풀꽃에서 발견되는 탄력성과 아름다움을 살펴보는 작업을 겸하겠다. 독자들의 많은 편달을 바란다. 
 

육우균.jpg

▣ 육우균
◇ 교육연합신문 주필


전체댓글 0

  • 52147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풀꽃 산책] 프롤로그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풀꽃 산책] 프롤로그

작은 것이 만드는 거대한 세상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 URL
기사입력 : 2024.12.25 16:36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