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03(금)
 

[교육연합신문=우병철 기자] 12월 16일 강원도 평창 오대산 사고와 월정사에서는 조선왕실의궤가 100여년 만에 일본에서 돌아왔음을 알리는 환수 고유제(告由祭)와 환영행사가 열렸다.

 

지난 10월 18일 노다 요시히코 일본 총리가 한·일정상회담을 위한 방한 시 일본으로 반출됐던 조선왕조도서인 대례의궤 1책, 왕세자가례도감의궤 2책, 정묘어제 2책 등 5책을 우선 국내로 반환한데 이어 12월 6일 나머지 1,200책의 도서가 인천공항을 통해 모두 반환됐고 문화재청에서는 인천공항에서 영접 및 환영행사를 개최하고, 13일 종묘에서 환국된 조선왕조도서 1,205책에 대한 고유제례를 열었다.

 

환국된 조선왕조 도서 1,205책 중에는 조선왕실의궤 81종 167책이 포함되어 있다. 167책의 의궤 중에는 오대산 사고본이 44종 81책이다.

 

고유제는 종묘제례보존회의 주관으로 오대산 사고에서 약 30분간 진행됐으며, 환영식은 월정사 대법륜전에서 식전행사인 오대산 학춤을 시작으로 의궤 봉안식, 공로패 증정 순으로 약 1시간 30분가량 진행됐고 환영식이 끝나는 3시부터 되찾은 조선의 보물, 의궤 북 콘서트가 열렸다.

 

유네스코 세계유산 알아보기 오늘은 조선왕조 의궤에 대해 알아보자.

 

조선왕조 국가의식의 핵심을 이루는 길례(吉禮, 제사)와 가례(嘉禮, 혼인 등), 빈례(賓禮, 사신 접대 등), 흉례(凶禮, 장례 등), 군례(軍禮, 군사 훈련 등)를 기록한 이 의궤(儀軌)는 국가의식의 흐름과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특히 행사의 진행과정을 날짜순으로 자세히 적고, 참여한 사람들의 명단과 비용 및 재료까지 세밀히 기록해 놓았으며, 의식에 쓰인 주요 도구와 행사 장면을 천연색으로 그려 놓아 시각적 효과와 현장성까지 살려 놓은 것이 큰 특징이다.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에 소장된 546종 2,940책의 각종 의궤, 한국학 중앙연구원 장서각(藏書閣)에 소장된 287종 490책의 각종 의궤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돼 있다.

 

의궤는 조선왕조에서 유교적 원리에 입각한 국가 의례를 중심으로 국가의 중요 행사를 행사 진행 시점에서 당시 사용된 문서를 정해진 격식에 의해 정리하여 작성한 기록물이다. 같은 유교문화군에 속하는 중국, 일본, 베트남 등에서는 의궤의 체계적인 편찬이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의궤는 조선시대 600여년에 걸쳐 (1392-1910) 왕실의 주요 행사, 즉 결혼식, 장례식, 연회, 사신영접 등 뿐 아니라, 건축물·왕릉의 조성과 왕실문화활동 등에 대한 기록이 그림으로 남아져 있어 600여년의 생활상을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희소성을 가지고 있다.

 

총 3,895 여권의 방대한 분량에 이르는 의궤는 왕실의 주요한 의식이 시기별, 주제별로 정리되어 있어서, 조선왕조 의식의 변화 뿐 아니라 동아시아 지역의 문화를 비교연구, 이해하는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반차도, 도설 등 행사모습을 묘사한 시각 콘텐츠는 오늘날의 영상자료처럼 당시의 모습을 입체적으로 생동감 있게 보여준다. 예컨대 정조의 능행도(陵幸圖)는 전 여정을 15.4m에 걸쳐 표현하고 있다. 이런 형태(시각중심 visual-oriented)의 기록유산은 뛰어난 미술장인과 사관의 공동작업을 통해서만 만들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독특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한 마디로 의궤는 장기간에 걸쳐 조선왕조의 주요 의식을 방대한 양의 그림과 글로 체계적으로 담고 있으며 이러한 유형은 동서양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다는 점에서 매우 뛰어난 기록유산의 가치(outstanding value of documentary heritage)를 지니고 있다.

 

세계사 맥락에서 유교의 중요성이 저평가되고 있는 면이 없지 않다. 유교는 세계의 조그만 한쪽 구석에 존재했던 문화가 아니다. 유교가 지배했던 영토는 그 면적으로 볼 때 서유럽보다도 몇 배나 컸으며 인구 수에 있어서도 유럽, 서남아시아 및 중동을 초과하는 큰 규모였다. 유교권은 최소 14세기까지 전세계를 2~3개 권역으로 분할하던 주요 문화권 중 하나였다.

 

그러나 중국의 경우 수차례에 걸친 야만족의 침입과 이들에 의한 점령으로 인해 시간이 경과하며 전통 의식은 원형을 점차 잃어갔다. 특히 몽골 침입 기간 동안 유교 의식을 수록한 문헌 상당수가 소멸됐다. 이에 반해 한국은 그러한 침입을 경험하지 않았기에 전통 유산을 원형 그대로 보존하며 천 년 동안 진정성을 훼손하지 않고 유교 의식을 봉행하는 전통을 이어갈 수 있었다.

 

의궤는 대부분의 유교사회에서 잊혀진 과거 유산을 보존하고 있는 기록이다. 또한, 의궤는 조그마한 군주국가의 기록이 아니라, 한때 세계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던 유교 전통의 핵심을 대표하는 기록이다.

 

조선왕조 의궤는 2007년 6월 제8차 유네스코 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6.13∼15, 남아공 프레토리아)에서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문화기획]유네스코 세계유산 알아보기(9)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