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8(일)
 

[교육연합신문=김홍제 칼럼] 

김홍제2.jpg

새벽 5시 전에 일어났다. 초저녁에 잠을 잔 탓이다. 더 이상 잠이 오지 않아 서재로 갔다. 프랭크 시나트라가 부른 팝송 ‘마이 웨이(My way)’를 들었다. 가사를 음미하며 듣다가 생뚱맞게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물음이 불쑥 올라왔다. 나름대로 열심히는 살아왔는데 그것이 내가 원하던 삶인가. 아니 내가 원하는 삶은 어떤 것인가. 이렇게 사는 것이 의미가 있는가. 명예퇴직을 신청해야 하나. 새삼스럽게 사춘기 소년처럼 혼란스러웠다. 

 

책장에서 딸이 사놓은 유시민의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책을 뽑아 들었다. 저자는 프롤로그에서 소제목을 ‘나답게 살기’로 해 놓고 ‘열정이 있는 삶을 원한다. 마음이 설레는 일을 하고 싶다. 자유롭게, 그리고 떳떳하게 살고 싶다.’라고 하면서 그렇게 사는 것이 나다운 인생이라고 썼다. 나에게 나다운 인생은 어떻게 사는 것일까. 

 

톨스토이는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라는 단편 소설에서 가난한 구두 수선공 세몬을 등장시켜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에 대한 질문에 ‘사랑’이라는 대답을 보여주었다. 사랑으로 사는 것이 나다운 올바른 삶을 사는 길일까.

고등학생 때 행복론에 대한 철학책을 읽었는데 머리말에서 읽은 행복에 대한 비유 이야기는 지금까지 기억에 남아 있다. 

 

물레방아로 밀을 찧어서 대대로 생계를 이어나가는 사람이 있었다. 물레방아를 잘 관리하고 조상이 가르쳐준 경험으로 안정적인 삶을 살고 있었다. 문득 그는 물레방아가 돌아가는 원리를 잘 알아야 한다고 믿게 되었다. 물레방아 원리를 잘 알기 위해 방아굴대를 넓히기도 하고 방아공이의 높이를 높였다 낮추기도 했다. 그러는 사이에 물레와 방아는 완전히 이상해져서 삐걱거리게 되었다. 

 

그는 더 나아가 물레방아를 돌리는 물질은 물이기에 물을 연구해야 한다고 물이 내려오는 상류로 올라갔다. 물길을 조사하고 연구했다. 물레방아는 돌보지 않았다. 그러는 사이 물레방아는 본래의 기능을 상실할 정도로 망가졌다. 주변 사람들이 물레방아의 원래 기능이 잘 돌아가게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충고를 했다. 그는 충고를 듣지 않았다. 자신은 물레방아를 돌리는 원리를 연구해서 조상보다 더 훌륭한 최고의 물레방앗간 주인이 되겠다는 것이다. 결국 그 사내의 물레방아는 더이상 밀을 찧을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 

 

인류는 행복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서 인간의 몸을 조사하고 몸을 구성하는 세포를 연구했다. 핵막에 따라 진핵세포와 원핵세포를 찾아내고 효소와 아미노산과 미토콘드리아를 연구했다. 급기야 단백질이 최초로 어디에서 기원했는지를 찾아내는 것이 행복의 기원이라고 믿게 되었다. 과연 세포의 구성 물질을 알아내서 세포에 대하여 모든 것을 알면 그 세포로 이루어진 인간을 행복하게 할 수 있는 것일까. 구심점이 인간을 떠나면 안 된다. 

 

2025년부터 AI 디지털교과서를 학교에 도입해서 2028년부터 모든 교과목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사용한다고 한다. 학교에 전보다 많은 돈을 투입하고 있다. 급식도 교복도 수업료도 교과서 대금도 공짜다. 그래도 학교 구성원들은 행복하지 않다. 무슨 이유일까. 

 

컴퓨터가 발전하고 기계가 발전해서 인간의 일을 대신해 주면 인간은 행복해질까. 밥솥이 밥을 하고 세탁기가 빨래를 하고 청소기가 청소를 하고 쌀밥을 매일 먹는데도 행복하지 않다. 옛날에 서로 밥을 비벼 먹고 이웃들과 칼국수를 나누어 먹을 때보다 왜 웃음은 더 없어진 것일까. 행복은 편리함보다 다른 곳에 있는 것이 아닐까. 

 

인간의 행복이라는 구심점으로 돌아가야 한다. 물레방앗간이 안정적으로 운영되려면 물레방아에 집중해야 한다. 물레방아에서 너무 멀어지지 않아야 한다. 물레방아를 내던지고 인간과 먼 곳에서 행복을 찾지 말아야 한다. 인간의 몸과 마음이 먼저이다. 기계와 돈과 명예가 행복에 영향을 주는 것은 사실이지만 인간과 멀어질수록 인간은 피폐해질 것이다. 

 

행복한 삶을 위해 세 가지를 실천하려 한다. 솔직함과 단순함과 깨끗함이다. 

솔직하게 살면 세상을 온전히 살 수 없다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살다보니 솔직함이 최선이었다. 할 수 있는 한 솔직한 것이 건강과 성장과 존중에 도움이 된다. 지도층이 솔직하다고 믿는 사람들이 적다. 그들은 잘못을 인정하지도 않는다. 그 결과 사회적 비용이 더 들어가고 감시와 점검의 체계가 늘어나는데 불신도 함께 늘어난다. 

 

마음 편히 사는 방법도 솔직함이다. 좋은 친구를 만드는 방법도 솔직함이다. 사람 사는 것이 거기서 거기다. 솔직하면 너무도 부끄러울 일이 많지만 나중에는 사람이기에 이해를 한다. 솔직하면 추가 비용이 필요 없다. 부모와 자식, 교사와 학생, 상사와 아래 직원, 기업과 정치가 솔직하면 얼마나 세상이 환상적이겠는가. 

 

단순함은 복잡하게 사는 현대인의 생존 조건이다. 카드나 핸드폰을 잃어버리면 공황 상태에 빠진다. 자동차를 사면 고민해야 할 일이 많다. 보험, 수리, 관리, 법규, 기름값, 비용 등 할 일들이 생겨난다. 복잡한 관계는 심신을 괴롭게 한다. 하나씩 줄여나가야 한다. 미루지 말고 정리를 해야 한다. 인간관계, 책, 모임, 생각, 소유물을 되도록 단순하게 정리하는 것이 잘 사는 길이다. 

 

마지막으로 깨끗함이다. 마음의 깨끗함도 있지만 주변과 몸을 깨끗하게 하는 것이 잘 사는 기본이다. 책상의 정돈 상태를 보면 주인의 생활태도를 짐작할 수 있다. 이는 편견이겠지만 임상적으로 높은 확률을 경험했다. 깔끔한 사람 곁에는 같이 있고 싶다. 

 

솔직함, 단순함, 깨끗함이 내가 잘 살기 위한 기본 조건이다. 이 조건을 지켜가며 어떻게 살 것인가를 더 고민할 것이다. 교사가 학생들에게 이러한 모습을 보여준다면 학생에게 더없이 좋을 듯하다.

 

김홍제.jpg

▣ 김홍제

◇ 충청남도교육청학생교육문화원 예술진흥부장

전체댓글 0

  • 85445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김홍제의 목요칼럼] 어떻게 살 것인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