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8(일)
 
[교육연합신문=육우균 칼럼] 
대상전에 산뢰이괘를 보면 ‘산 아래 우레가 요동치며 만물을 이양하고 있는 모습이다. 군자는 이를 본받아 입에서 나가는 언어를 신중히 하여 턱을 기르고 입으로 들어가는 음식을 절제하여 몸을 기른다.’고 되어 있다. ‘산뢰이괘’의 ‘이(頤)’는 ‘턱’이란 뜻이다. 턱의 할 일은 두 가지다. 하나는 음식을 씹는 행위다. 음식을 씹는 행위는 존재를 나타낸다. 즉 내 몸에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행위다. 음식을 통해서 영양분을 공급해야만 존재가 가능해진다. 간디가 말한 아힘사(비폭력)의 사상과도 연관이 있다. 
 
다른 하나는 말하는 행위다. 상스런 말에서부터 도덕적・철학적 말까지. 음식은 우리의 몸을 기르지만, 말은 우리의 정신을 기른다. 말은 오해를 가져와 갈등을 낳는다. 언어의 한계가 분명하다. 싯다르타가 깨달음을 얻고 강연을 할 때 연꽃을 들었다. 가섭 존자가 이를 보고 웃었다. 부처의 깨달음 모두를 가섭 존자에게 주었다. 이심전심, 불립문자 등은 언어가 가지고 있는 한계를 노출한다. 필자가 ‘★’으로 말했는데, 상대방이 ‘⎔’으로 받아들이고 이해했다고 한다면 오해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게 된다. ★과 ⎔은 분명히 다르다. 여기서 오해의 씨앗이 생기고 그 씨앗은 갈등으로 증폭된다. 유명한 선사들의 말을 모은 책인 『벽암록』에도 ‘깨달음이 무엇이냐’는 제자의 물음에 ‘앞마당의 잣나무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언뜻 보면 질문에 대한 엉뚱한 대답이다. 이것은 ‘깨달음이 도대체 뭐요’라는 질문에 ‘그것은 앞마당에 있는 저 잣나무와 같이 서로 아무 관계가 없다’는 답을 준 것이다. 왜? 언어의 한계를 먼저 깨달은 후에 다시 오라는 말일 것이다. 언어의 한계를 모르고서는 깨달음은 없다는 말이다. 언어는 깨달음에 도달하는 수단은 될 수 있어도 깨달음 자체는 아니다.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이다. 손가락만 쳐다보면 영원히 달을 볼 수 없다. 언어 즉 도서관에 무수히 쌓여 있는 언어로 만든 책들 속에 파묻혀 진리를 탐구하는 우를 범하지 말라. 책 속에 진리가 있다고 말하지만, 언어의 한계 속에 빠지면 안 된다. 언어의 한계를 분명히 인식하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진리를 말하면 그것은 이미 진리가 아니다’고 성인들은 말했다. 이 말도 언어의 한계를 명확히 집어 준 말이다. 
 
말은 우주 만물을 아주 작은 것으로 축소하는 능력이 있다. 우주가 얼마나 큰가. 우리의 상상력을 뛰어넘는다. 그런 우주를 ‘우주’라는 두 글자로 단정 짓는다. 여기서 엄청난 차이가 생긴다. 우주를 실제로 본 사람과 우주라는 단어만 본 사람과의 차이는 깨달음의 차이만큼이나 격차가 크다. 필자가 고등학생 시절 수학여행이라고 하여 동해안 바닷가를 간 적이 있다. 그때 난생 처음 ‘바다’를 보았다. 그동안 책으로만 본 바다, 그래서 상상하기만 했던 바다를 필자의 눈으로 직접 보았을 때의 차이는 상상과 현실의 차이가 하늘과 땅의 차이였다. 그때 바다를 보면서 하염없이 흐르던 눈물. 경이로움의 눈물, 감동의 눈물이었다. 그래서 시인 정지용은 바다를 ‘푸른 도마뱀 떼’,  ‘잠잘 줄 모르는 어머니’, ‘폈다 오무렸다 하는 연꽃’이라고 노래한 것이 아닌가 한다. 깨달음은 어디서 오는가. 적어도 책 속에서는 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여기 한 개의 사과가 있다. 두 글자로 쓰인 ‘사과’라는 단어와 눈으로 직접 볼 수 있고, 만져볼 수 있고, 입으로 넣어 맛을 볼 수 있는 실제 사과와는 이루 말할 수 없는 차이가 존재한다. 
 
세상을 바꾼 다섯 가지 사과가 있다. 우선 아담과 이브의 사과(기독교 윤리의 헤브라이즘 발생), 아프로디테에게 바친 파리스 왕자의 사과(심미적인 헬레니즘의 발생), 빌헬름 텔의 사과(민주주의 탄생), 뉴턴의 사과(과학시대의 탄생), 세잔의 사과(현대 미술의 탄생) 이다. 그런데 세상을 바꾼 다섯 가지의 사과는 모두 관념적인 죽은 사과다. 모두 내 몸 밖에서 존재하는 사과들이다. 타자로서의 사과다. 그러나 직접 어금니로 씹어먹는 미각으로서의 사과는 내 몸의 일부가 되어버린 살아있는 사과다. 나와 하나가 되어버린 사과다. 시각, 촉각, 청각, 후각, 미각 중 존재와 가장 가까운 감각은 미각이다. 왜냐. 미각은 씹는 것이기 때문이다. 
 
대상을 파괴하지 않고서는 일체가 될 수 없다. 우리 식탁에 오르는 음식들은 모두 죽은 것들이다. 생물이 죽어야 타자의 음식이 될 수 있다. 사자도 사슴을 사냥해서 죽인 다음에 먹는다. 죽은 생물은 타자의 몸 일부가 된다. 죽은 것들을 우리가 먹고 우리가 죽으면 살아있는 다른 생물에게 먹히는 존재가 된다. 따라서 씹는 것은 씹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먹는 것은 먹힘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존재는 시간이다. 시간이 지나면 모두 타자에게 먹히는 존재가 된다. 도올은 말한다. 존재의 삼위일체는 입(턱)과 언어와 음식이라고. 탁견이다. 
 
올바르면 길하다. 어떻게 길러야 올바른 것인지를 잘 보며 스스로 적합한 음식물을 구해야 한다. 왜냐? ‘먹는다’는 일은 부정적으로 흐를 위험성이 높기 때문이다. 예로부터 ‘입을 병같이 지키라. 입은 곧 화를 부르는 문이라’하며 ‘병은 입으로부터 들어가고, 화는 입으로부터 나온다’고 했다. 언어와 음식을 경계하는 말이다. 입은 모든 복과 화의 출입문인 것이다. 
 
욕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애칭욕이다. “아이구, 이 문둥아”(경상도), “이 잡것”(전라도), 이 새끼(서울) 주로 사투리로 사용된다. 욕이라도 봐 줄만 하다. 농욕이다. “똥물에 빨아서 오줌에 튀길 놈” 말하는 상황을 보아가며 해야 할 욕이다. 주로 민요, 탈춤, 판소리에 삽입되어 관객과 일체감을 이룬다. 다음은 아주 좋지 않은 욕으로 주로 정치인들이 쓴다. 흠집내기 욕이다. 바아냥거림, 놀려먹기, 업신여김, 인신공격, 저주 등이다. 악다구니 욕은 신분이나 나이가 처진 사람이 악을 쓰면서 대거리하는 욕이다. “제기랄”, “우라질”, “빌어먹을”, “젠장” 등이다. 그밖에도 성희롱에 해당하는 욕이 있다. 이 욕은 남녀 성기를 극단적으로 비하하면서 발화자의 리비도를 발산, 촉진시키는 욕이다. 
 
이러한 욕은 정치인들의 영향력이 크다. 청소년들이 바로 따라 한다. 욕의 문제는 뇌 안에서 일어나는 프루닝(prunning) 작업에 있다. 프루닝은 가지치기처럼 많이 쓰는 것, 필요한 것을 제외한 나머지 불필요한 것들을 뇌에서 없애버리는 작업이다. 욕을 많이 쓰면 쓸수록 대화에서 제외된 단어들이 이용되지 않아 점점 어휘력이 낮아지게 된다. 요즘 정치인들이 국민들 수준보다 한참 떨어지는 게 흠집내기 욕을 많이 하게 되어 그들의 뇌 속에 점점 어휘력이 낮아지게 된 것이 원인이지 않나 하는 생각을 잠시 해본다. 
 
우리의 뇌는 생명의 뇌, 감정의 뇌, 이성의 뇌로 크게 분류된다. 그중 감정의 뇌는 변연계에서 담당한다. 변연계는 기억과 감정의 호르몬을 관장한다. 욕을 하게 되면 우리의 뇌에 있는 변연계에 문제가 생겨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이 사라진다. 자신을 화나게 한 사람을 죽이기까지 한다. 따라서 변연계를 통제할 수 없으면 욕설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된다. 
 
욕을 하게 되면 건강에 좋다는 설도 있다. 자기의 억눌린 감정을 쏟아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바람이 부는 대나무 숲에 가서 해라. 막욕, 쌍욕을 해도 된다. 다만 혼자 있을 때만 그렇게 해라. 사람들끼리 대화하는 자리에선 하지 마라. 
 
언어는 인간만이 가진 능력이다. 그 능력을 잘 사용해야 한다. 쓰레기처럼 쓸 수는 없지 않은가. 언어의 정령성을 생각하자. 인간의 품격을 드높이는 언어를 사용하자. 특히 익명성이 요구되는 인터넷에서 언어의 품격을 높여 나가자. 
 
결국 입(턱)에서 나가는 언어를 조심하여 덕을 기르고, 입으로 들어가는 음식을 절제하여 몸을 기르면 아무 문제가 없이 삶을 살게 된다. 이는 턱을 통찰한 지혜다. 산뢰이괘는 존재의 근원에 대한 물음이다.

 

육우균.jpg

▣ 육우균

◇ 교육연합신문 주필

전체댓글 0

  • 94969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육우균의 周易산책] 턱은 존재의 근원이다(산뢰이)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