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7(토)
 
[교육연합신문=전준우 칼럼] 

전준우입니다..jpg

20대 중반 무렵부터 알고 지낸 지인이 있다. 그는 일단 이야기를 시작하면 부정적인 이야기부터 시작했다. 마흔을 넘긴 지금도 마찬가지다. 어린 시절 부모님의 싸우는 모습만 보면서 자랐다고 이야기하는 그는 파트타임 외에 이렇다 할 일자리도 제대로 구하지 못했다. 나는 스스로를 운명론자에 가깝다고 이야기하지만, 때로는 운명보다 걷잡을 수 없는 교만이 스스로의 길을 패망으로 인도하는 경우도 있다는 것을, 그의 눈동자와 말투에서 확인하곤 한다. 
 
크세르크세스가 이끄는 페르시아군대와 스파르타의 300명 장군들의 전쟁, 거친 전투 끝에 스파르타의 전사들이 장렬하게 전사하는 영화 '300'은 너무나도 잘 만들어져서 보는 내내 손에 땀을 쥐게 할 정도다. 책과는 다르게 엄청난 분량의 픽션을 가미하긴 했으나, 미디어 분야에서 논-픽션보다는 픽션이 훨씬 재밌고 스릴이 넘치는 건 당연한 사실이다. 
 
퀴로스, 캄뷔세스, 그리고 3대 샤한샤인 다레이오스로 왕위가 계승되면서 작은 속국에 불과했던 페르시아는 거대 제국으로 성장하였다. 그중에서도 페르시아의 3대 샤한샤였던 다레이오스는 왕으로 세움을 입기 전부터 왕의 자질을 갖추고 있는 인물이었다. 마고스(magus)의 반란을 저해한 7인의 인물들이 민중정치, 과두정치를 주장할 때 다레이오스는 군주정치를 주장하여 4인에게 찬성표를 얻었고, 페르시아의 왕이 되었다. 
 
휘스타스페스의 아들 다레이오스는 그의 말의 탁월함과 그의 마부 오이바레스의 탁월함에 힘입어 페르시아의 왕위를 차지했노라. -헤로도토스 <히스토리즈 아포덱시스> 3권 88장 
 
다레이오스가 366년간 페르시아를 다스리는 동안 페르시아는 크게 번성한 국가로 이름을 알렸다. 이후 다레이오스가 세상을 떠나면서 맏이였던 크세르크세스가 왕이 되어 페르시아를 다스리게 되었는데, 크세르크세스 왕이 재위하던 시기에 살라미스 해전을 비롯하여 크고 작은 전투를 벌이게 된다. 세계 3대 해전 중 하나로 평가받는 살라미스 해전은 그리스 해군과 규모에서만 4배 이상 차이가 나는 페르시아 해군의 해상전투로, 그리스 군의 압도적인 승리를 일군 역사적인 해상전투다. 이 전투에서 페르시아는 그리스 연합군에 패하여 물러난 뒤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데, 페르시아인들은 역사의 흐름 속으로 사라진 크세르크세스와 다레이오스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있다. 
 
크세르크세스가 그리스와의 전쟁을 포기하려 할 때 그리스와의 전쟁을 부추기는 꿈을 꾸었다. 그런 꿈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그리스 원정을 포기했으나, 크세르크세스뿐만 아니라 크세르크세스의 옷을 입고 잠이 든 숙부 아르타바노스의 꿈에도 재차 등장하자 그리스 원정이 신의 선택이라는 믿음을 갖고 전투를 준비한다. 
 
전쟁을 앞둔 시점에서 크세르크세스의 숙부인 아르타바노스는 가장 두려운 두 가지 적인 육지와 바다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폭풍우에서 안전할 수 있는 함대와 인간은 세상에 존재하지 않으며, 땅을 얻기 위해 노력할수록 기아에 시달릴 위험이 커진다는 것이 아르타바노스의 주장이었다. 그런 아르타바노스를 향해 크세르크세스는 '이익은 매사에 숙고하는 자가 아닌 행동할 준비가 되어 있는 자에게 돌아간다'라고 이야기한 뒤 전투에 임한다. 
 
페르시아인들에 등장하는 다레이오스의 혼령은 다르게 이야기한다. 
 
"이제야 내 모든 친구들을 위해 재앙의 원천을 발견한 것 같소. 그것은 내 아들이 영문도 모르고 젊은 혈기에서 저지른 짓이오. 그 애는 신성한 헬레스폰토스의 흐름을, 신에게 바쳐진 보스포로스의 흐름을 종인 양 사슬로 제어할 수 있기를 바랐소. 그 애는 해협의 물길을 억지로 바꾸고 망치로 두들긴 차꼬로 묶어 대군을 위해 대로를 닦았지요. 그 애는 인간인 주제에 어리석게도 모든 신들을, 심지어 포세이돈조차도 지배할 수 있으리라 믿었소. 내 아들이 정신이상이 아니고 무엇이겠소? 애써 모은 내 부가 아무나 먼저 잡는 사람의 먹이가 되지 않을까 두렵소." -<페르시아인들 743-752절> 아이스퀼로스 
 
헤로도토스의 <히스토리아>에는 크세르크세스의 우유부단함과 어리석음에 대한 내용이 종종 발견된다. 일례로 페르시아의 여장군 아르테미시아의 '해전을 피하고 육로로 펠로폰네소스로 진격하는 것만으로도 왕의 뜻대로 될 것이다'는 조언을 달게 들으면서도 '그렇긴 하지만, 다수의 의견에 따르도록 하라'라고 지시함으로써 페르시아에 멸망을 안겨준 살라미스 해전의 결정적인 요인을 자처한다. 이후 아테네에서 퇴각하는 배 위에서 강풍이 불어 파도가 거세지자, 살아남기 위해서 자신의 병사들에게 '내게 충성하는 자들은 내 목숨을 위하여 자신의 목숨을 버릴 줄 알아야 한다'라고 이야기함으로써 백성들을 죽음으로 몰아가게 하고, 자신의 목숨을 구해준 키잡이의 목을 베게 했다는 일화도 전해진다. 영화 <300>으로 유명해진 스파르테의 왕 레오디나스의 조카이자 영광스러운 승리자였던 파우사니아스는 페르시아를 점령한 이후 금과 은으로 만들어진 페르시아의 식기류와 식사를 맛본 뒤 "페르시아인들은 이렇게 호화로운 식사를 하면서도 우리의 빈약한 식사를 빼앗으러 왔구나."하고 이야기하였다.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발발하기 전, 아테나의 사절단은 전쟁을 두고 이렇게 이야기한다. 
 
"전쟁이 오래 지속되면 대개 우연의 지배를 받게 되어, 둘 중 어느 쪽도 사태를 제어할 수 없게 됩니다. 그러면 우리는 결과도 예측하지 못하면서 위험을 감수해야 합니다. 사람들이 전쟁부터 시작하는 것은 일을 거꾸로 하는 것입니다. 행동이 앞서고, 피해를 보고 나서야 생각하기 시작하니 말입니다."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1장 78-1, 아테네의 사절단> 
 
전쟁을 막으려는 강대국 아테나이와 페리클레스의 연설과는 달리, 코린도스와 동맹국들은 전쟁을 통해 승리를 거머쥐고 아테나의 독주를 막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는 소국가들의 연합체를 만든다. 장장 27년이라는 오랜 기간 동안 끊이지 않는 전쟁은 훗날 펠로폰네소스 전쟁사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지지만, 투튀기데스의 말처럼 "일회성 읽을거리가 아닌 영구장서용으로 쓰여진 책"으로 쓰여졌고 아울러 고전으로 널리 읽히기에 망정이지, '전쟁사에 관련된 탁월한 서양고전'이라는 빛나는 이름 외에 어느 누구도 아름다운 결말을 맞이할 수 없는 비극적인 전쟁으로 남아 있다. 
 
개인의 교만과 어리석음은 주변의 분위기를 흐리게 만들고 무리를 동조시킨다. 나비효과 butterfly effect처럼, 국가 간의 전쟁도 결국 어느 개인의 아집과 어리석음에서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죽고 죽이는 싸움, 누구 하나 승자가 될 수 없는 전쟁은 반기는 이 하나 없는 절망만을 남긴 채 사라져 버린다. 페르시아 왕의 마음속 깊은 곳에 가지고 있던 교만과 아집의 씨앗이, 세계적인 강대국이었던 페르시아를 지금의 작고 힘없는 국가로 만들어버린 것인지도 모른다.

 

전준우입니다..jpg

▣ 전준우

◇ 작가, 강연가, 책쓰기컨설턴트

◇ 前국제대안고등학교 영어교사

◇ [한국자살방지운동본부]

◇ [한국청소년심리상담센터] 채널운영자

◇ [전준우책쓰기아카데미] 대표

전체댓글 0

  • 50318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10대인생학교 행복교육] 휴브리스, 어제까지의 영광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