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7(토)
 

[교육연합신문=육우균 칼럼] 

대상전에 지풍승괘를 보면 ‘땅속에서 나무가 생성하여 높게 자라나는 모습이다. 부드러운 새싹이 때를 맞춰 성장하는 상태다. 군자는 이를 본받아 덕을 순조롭게 쌓아가고, 작은 것을 쌓아서 높고 장대함을 이룩한다’고 되어 있다. ‘지풍승(地風升)’의 ‘승(升)’은 ‘오른다’, ‘상승’을 의미한다. 모여서 올라가는 것이 승(升)이다. 이는 ‘지풍’이니 땅속에 바람이 분다는 의미이지만 이때의 바람은 나무로 대치된다. 원래 ‘풍(風)’은 ‘나무’나 ‘바람’으로 상통하는 바, 즉 땅 아래에 나무가 있으니, 이것은 땅속에서 나무를 자라게 하는 모습이다. 이소성대(以小成大), 작은 것을 쌓음으로써만 높고 장대해질 수 있다. 

 

승(升)은 승(昇)과 같은 것이니 오른다는 뜻이다. 땅속에서 나무의 새싹이 돋아나 무럭무럭 자라 오르고 있는 상태를 상징한다. 봄이 잉태한 나무의 씨앗. 긴 겨울 동안 땅속에서 묵묵히 힘을 길러 오던 나무의 씨앗이 이제 계절의 따뜻한 품 안에서 새로운 한 개의 생명체로 부화되어 희망의 세계, 무한대의 공간으로 고개를 든다. 하늘은 높고 넓다. 얼마든지 마음껏 자랄 수 있다. 이 꿈. 이 동경. 어린 나무에게 강렬한 생명에의 정열을 가지게 한다. 그칠 줄 모르는 성장에의 의욕을 샘솟게 한다. 꿈이 있기 때문에, 동경이 있기 때문에 젊음은 성장하는 것이요, 청춘은 기쁜 것이다. 

 

독자들 중에서 나무를 키워 본 사람은 안다. 나무를 키울 때 정말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것은 눈에 보이는 줄기가 아니라 흙 속의 뿌리라는 사실이다. 씨앗이 바람에 날리거나 물에 떠내려가 싹을 틔울 만한 흙에 안착했다 해도 자신에게 꼭 맞는 온도와 수분, 적절한 빛의 배분 등 여러 조건이 맞을 때를 또 기다려야 한다. 그렇게 땅속의 깜깜한 어둠을 자궁 삼아 긴 인내의 시간을 보내고 ‘이제 됐다’는 결심이 서면 용기 있게 흙 밖으로 머리를 내민다. 

 

그 결심의 순간이 언제인지는 오직 씨앗 자신만이 안다. 그것은 씨앗 본연의 생리적 선택이자 삶의 방식이다. 씨앗 안에는 오래도록 씨앗으로 존재하려는 현재 지향성과 껍질을 나무로 자라려는 미래의 용기가 동시에 존재한다. 그것은 좋은 환경이 올 때까지 기다리려는 힘과 언제든지 싹을 틔우려는 상반된 힘이 씨앗 안에서 갈등하고 타협한다는 증거다. 『주역』의 효사에 민중의 자리와 지배의 자리의 경계, 즉 인의 자리에서 갈등하는 인간 삶의 모습과 다르지 않다. 

 

막 싹을 틔운 어린 나무가 생장을 마다하는 이유는 땅속의 뿌리 때문이다. 작은 잎에서 만들어 낸 소량의 영양분을 자라는 데 쓰지 않고 오직 뿌리를 키우는 데 쓴다. 눈에 보이는 생장보다는 자기 안의 힘을 다지는 데 집중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어떤 고난이 닥쳐도 살아남을 수 있는 힘을 비축하는 시기, 뿌리에 온 힘을 쏟는 어린 시절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나무는 유년기를 보내는 동안 바깥 세상과 상관없이 오로지 자신과의 싸움을 벌인다. 따뜻한 햇볕이 아무리 유혹해도, 주변 나무들이 보란 듯이 쑥쑥 자라나도, 결코 하늘을 향해 몸집을 키우지 않는다. 땅속 어딘가에 있을 물길을 찾아 더 깊이 뿌리를 내릴 뿐이다. 도광양회다. 그렇게 어두운 땅속에서 길을 트고 자리를 잡는 동안 실타래처럼 가는 뿌리는 튼튼하게 골격을 만들고 웬만한 가뭄은 너끈히 이겨낼 근성을 갖춘다. 줄잡아 5년을 그렇게 버틴 후에 세찬 바람과 폭우에도 굳건히 버틸 수 있는 교목으로 거듭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보자면 싹을 틔우는 씨앗의 기적은 그저 맹목적인 기다림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용기 있게 하늘을 향해 첫발을 내딛지 못하면 기다림은 결국 아무런 결실을 맺지 못한다. 기다리기만 한다고 저절로 때가 오지는 않는다. 가장 좋은 때는 결국 자기가 만들어 가는 것이다. 이렇게 기다림 그 자체만으로 달라지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작은 씨앗이 캄캄한 흙을 뚫고 세상 밖으로 머리를 내밀 듯, 우선 내가 있는 자리에서 한 걸음 나아가려는 용기가 필요하지 않을까. 그러므로 꿈을 이루기 위해 조금이라도 무언가를 해 볼 여지가 있다면 씨앗이 껍질을 뚫고 세상으로 나오듯 새로운 세계로 나아가야 한다. 괴테도 말했다. ‘새로운 일을 시작하는 용기 속에 당신의 천재성과 능력과 기적이 모두 숨어 있다’고. 세상에 존재하는 어떤 거목도 그 처음은 손톱보다도 작은 씨앗이었음을 기억하라. 

 

여기 나무에 대한 아주 좋은 시가 있어 소개한다. 육병홍님의 「한 그루 나무가 되게 하소서」라는 시다. 감상해보자.


이슬비 지나간 산자락

안개 바람 걷히면

수런수런 향기로운 잎새의 향연.


별이 꽃잎 되어 쏟아지는 봄밤

낯선 속삭임 푸른 꿈에 젖어 사는 나무.


참매미, 말매미 무더위를 쫓는 여름날

실오리 바람결에도 한들한들 그윽한 몸짓으로 

한가로이 뜬구름 흘려 보내고


어느덧

계절이 뉘엿뉘엿 이울어가는 가을 해거름

찬연하게 물든 낙엽을 지우며


사라져가는 것의 아름다운 의미를 빛나게 하는

가진게 없어도 넉넉한 나무.


철새도 돌아가고 매운 바람만 서성이는

고독한 겨울밤 빈들에 홀로 서서

죽고 사는 건 모두 우주의 섭리에 맡기고


깊은 사색에 젖어 있는 나무

그 침묵의 언어를 배우게 하소서. 

 

나무는 세상에서 가장 나이 많은 지혜로운 철학자다. 나무는 내일을 걱정하느라 오늘을 망치지 않는다. 사람을 살게 하는 건 결국 마음 안에 간직한 삶의 의미 때문이라는 것을 나무는 우리에게 침묵으로 보여준다. 삶의 목표가 뚜렷할 때 비로소 몸과 마음이 치유될 수 있다. 사람은 꿈이나 희망 등 살아갈 이유가 있어야만 삶의 크고 작은 문제들을 이겨내며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나무는 싹을 틔운 순간부터 위로 자란다. 해를 바라보며 오직 하늘을 향해 뻗어 나간다. 하늘을 향해 수직으로 자라면서 아래 가지들이 제멋대로 자라는 것을 통제한다. 우듬지다. 우듬지란 나무의 맨 꼭대기에 위치한 줄기를 말하는데, 우듬지 끝이 한 마디쯤 자라고 나서야 아래 가지도 뒤따라서 한 마디 자란다. 우리의 마음은 제멋대로이다. 마치 원숭이 같다. 그 제멋대로인 마음을 다스리는, 나무의 우듬지 같은 것을 지녀야 한다. 그래야 목표한 것을 이룰 수 있다. 설사 이루진 못하더라도 그 방향성을 갖게 된다. 당신은 우듬지를 가지고 있는가, 당신의 우듬지는 무엇인가? 

 

지풍승괘를 보면서 나의 우듬지가 무엇인지를 곰곰이 생각해본다.

 

육우균.jpg

▣ 육우균

◇ 교육연합신문 주필

전체댓글 0

  • 31844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육우균의 周易산책] 당신의 우듬지는 무엇인가?(지풍승)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