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8(일)
 
[교육연합신문=김홍제 칼럼] 

김홍제2.jpg

아기가 우는데 볼기를 때리거나 큰 소리로 위협을 하는 행동은 올바른 대응이 아니다. 배가 고픈 건지 옷 안에 이물질이 있는지 기저귀가 젖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보호자가 해야 하는 올바른 대응이다. 우는 아기의 입을 막는 것은 매우 부적절한 해결방법이다. 우는 것조차 막으면 억울함을 느낀다. 아기가 우는 것에는 이유가 있다. 이유 없이 우는 아기는 없다. 이유를 모를 뿐이지 청소년도 이유 없이 반항하지 않는다. 어른도 마찬가지다. 
 
계속되는 교사들의 죽음이 신문 지면을 채우고 있다. 그들이 선택한 죽음의 원인은 단순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그중 하나는 억울함일 것이라고 추측한다. 잘못한 것만큼 고통을 받는다는 생각을 했다면 극단적 선택은 없었을 것이다. 마음이 분하고 답답한 심정이 억울함이다. 상식적이지 않은 악성민원에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이 너무도 없다는 무력감에 분하였을 것이다. 아무도 손을 내밀지 않고 강 건너 불구경하는 주변 상황이 답답했을 것이다. 무력감과 고독함은 삶의 의지를 소멸시켰을 것이다. 
 
교사들이 주말에 자기 돈을 내고 시간을 소비해서 간절하게 울고 있다. 월급을 올려달라는 것이 아니다. 정당한 교육을 하는데 범법자가 되지 않게 해달라는 것이다. 억울한 일을 당하지 않게 해 달라는 것이다. 법과 악성민원으로 이런 상황을 용인하게 만드는 것이 죽음을 불사하도록 억울하다는 것이다. 죽음이 있고 난 이후에야 간절함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학생들은 억울한 것이 없을까. 아무리 달려도 도달하기 힘든 목표를 두고 가혹한 채찍질을 견디며 사는 학생들은 경쟁에서 쓰러지면서 무슨 생각을 할까. 친구조차도 경쟁의 대상으로 삼아야 하는 현실에서 무엇을 기대할까. 사랑하고 즐거운 삶을 살아야 하는데 비교하고 열등감을 느끼는 경험을 반복하고 있다. 1등이나 최고를 차지하지 못하면 최선을 다하지 않았다는 죄책감에 시달려야 한다. 점수와 경쟁과 얽매임과 열패감을 업보처럼 안고 산다. 
 
보호자는 억울한 것이 없을까. 학교를 믿지 못해서 학원에 많은 돈을 낸다. 학교교육만으로 사회의 요구를 감당하지 못한다. 학교만 잘 다니면 훌륭하게 사회에 적응해야 하는데 그것이 안 된다. 소중한 자식이 학교에서는 인격적 대우를 받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학교는 학부모와 진정한 소통이 아니라 일방적인 전달을 할 뿐이다. 학교는 보호자의 의견에 관심이 없어 보인다. 자식을 맡겨 놓아 참으며 억울함을 느낀다. 
 
관리자들은 억울한 것이 없을까. 윗사람을 존중하던 문화는 사라졌다. 많은 책임을 관리자에게 지우려한다. 젊은 시절에는 박봉에 시달리며 온갖 어려움을 견디며 사명감으로 지내 왔다. 요즘 교직원은 권리만 요구하고 책임감이 없어 보인다. 샌드위치 신세가 억울하다. 
 
억울함은 분노나 파멸로 이어진다. 국가는 세금을 국민에게 걷고 있다. 국가가 국민의 억울함을 무시하면 안 된다. 정부는 억울한 교사, 억울한 학생, 억울한 학부모, 억울한 관리자가 없는 사회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공정한 사회는 사회구성원들에게 억울함이 없는 환경을 고민하여 제공하는 사회여야 한다.

 

김홍제2.jpg

▣ 김홍제

◇ 충청남도교육청학생교육문화원 예술진흥부장

전체댓글 0

  • 9698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김홍제의 목요칼럼] 억울한 사람이 없는 사회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