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04(토)
 
[교육연합신문=김홍제 칼럼] 

김홍제2.jpg

교사는 ‘교사다워야 한다’라는 프레임은 누가 만들었을까. 가스라이팅(Gaslighting)이란 용어는 1938년 영국에서 상영된 연극 ‘가스등(Gaslight)’에서 유래했다. 상황을 조작하는 방식으로 판단력을 잃게 만드는 행위를 말한다. 가스라이팅을 겪은 피해자는 우울증과 무기력증을 겪으며 사회적 관계에서 점차 고립된다. 가스라이팅 가해 방식은 다양하다. 시작은 피해자의 말을 듣지 않거나 경시하는 것이다. 교사들이 아무리 말을 해도 교실에서 일어나는 일은 다 교사의 잘못이라는 것만 강조하고 교사의 힘겨움을 듣지 않으면 담임은 심리적으로 고립된다. 
 
가스라이팅은 가해자가 본인이 가스라이팅을 하고 있는 가해자라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한다. 상대방을 위해서 하는 말이라고 하지만 그것이 결국 내 뜻대로 통제하기 위한 것이다. 부모가 자녀에게, 관리자가 직원에게 그런 실수를 한다. 가스라이팅이라는 행위는 결국 가해자 본인의 이기심에서 비롯한다는 사실을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교사답다라는 것은 어떤 것일까. 교사다움이라는 프레임으로 상대방에게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행동해주지 않을 때 올가미로 쓰는 것은 아닐까. 그들이 생각하는 교사다움은 자신을 희생하고 참고 견디며 돈을 밝히지 말고 성직자여야 하며 순종해야 하며 집회를 하지 말아야 한다. 세상사에는 관심을 두지 말고 오직 국가에서 원하는 교육과정과 평가방식을 충실히 수행하는 공무원을 바라는 것일 것이다. 
 
머리채가 잡히고 갈비뼈가 부러지는 상해를 입어도 교사를 능멸하는 욕을 해도 즉시 적절한 대응을 못한다. 마땅한 제재 수단이 없기 때문이다. 교사이면서 최소한의 권한조차 보장받지 못하는 교사들의 자괴감은 느끼지 않은 사람은 공감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한편으로는 교사다워야 한다는 생각에 혼자서 모욕을 감당하고 상대를 고소하지 못하는 일이 많을 것이다. 
 
정당한 교육적 지도를 할 수 있는 것이 교사다움이다. 자신을 사랑하고 나 스스로에 대한 믿음이 높은 사람은 가스라이팅의 대상에 되기 쉽지 않다. 교사에게 자존감은 그만큼 중요하다. 교사도 임금을 받는 실질적 노동자이고 감정을 가진 인간임을 인정해야 한다. 어려움이 있을 때는 도움을 줄 선생님의 선생님이 필요한 존재이다. 
 
교사도 자기의 권리만 주장하고 책임을 다하지 않는 태도는 지양해야 한다. 세금으로 운영되는 국가가 교사에게 봉급을 준다. 교사는 자기 의사를 충분히 밝히고 불의한 것에는 당당하게 도전하며 자존감을 지키고 보람을 느끼는 존재가 되어야 한다. 교사는 무엇보다도 학생에게 솔선수범의 모습을 보여야 하는 존재이다. 따라서 당당하고 주체적이고 자신을 사랑할 줄 알아야 한다. 상대방이 던져놓은 올가미에 얽혀서 스스로를 무력화하면 안 된다. 
 
교사는 오랜 시간 동안 교사다움이라는 프레임 속에서 헤어나기 어려웠다. 학생다움을 요구하며 두발과 복장 단속을 하던 시대가 멀지 않은 과거의 일이다. 정부다움이나 교육청다움이나 교장다움이란 용어는 왜 없는가 생각해 본다. 약자에게 ‘다움’이라는 프레임을 자기가 원하는 형태로 만들어 놓고 가스라이팅을 하는 모습은 없어져야 한다. 진정한 교사다움은 오직 교육적 양심을 위해서 존재해야 한다. 

 

김홍제2.jpg

▣ 김홍제

◇ 충청남도교육청학생교육문화원 예술진흥부장

전체댓글 0

  • 2476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김홍제의 목요칼럼] 교사다움과 심리 지배(Gaslighting)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