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03(금)

Home > 

실시간 기사

  • 김밥·삼겹살 영어로 어떻게 표기하지?
    농림수산식품부는 외국인이 한식을 보다 쉽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국내외 한식당에서 제공되고 있는 외국인 선호메뉴에 대한 외국어(영어·일어·중국어) 표기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본 한식메뉴 표기안은 문화부, 외교부, 한국관광공사, 국제교류재단 등 관련기관이 협력해 추진했으며, 국립국어원의 로마자 표기 자문과 음식·조리·외국어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위원회의 검토 작업을 거쳐 완성했다. 외국어 표기안은 한식당을 운영하는 사람과 외국인들을 위한 것으로 124가지 음식의 사진, 음식명칭, 주재료, 조리법, 곁들여 먹는 국이나 양념장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앞으로 농식품부는 이번 표기안을 책자로 발간해 국내한식당 뿐만 아니라 재외공관을 통해 해외 한식당에 보급하고 식품정보포털(www.foodinkorea.co.kr)에 e-book 형태로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메뉴 표기안을 불어·스페인어판 등으로 확대하고 더 다양한 한식메뉴와 한식 식재료에 대한 외국어 표준표기안을 개발해 나갈 방침이다.다음은 한식메뉴 영문표기.1. 김밥(gimbap) / Dried Seaweed Rolls(Korean Rolls) Vegetables and cooked egg are placed on seasoned rice. The ingredients are then rolled in dried seaweed and sliced into bite-sized pieces. 2. 김치볶음밥(kimchi-bokkeumbap) / Kimchi Fried Rice A spicy dish consisting of fried rice and chopped kimchi. Beef or pork may also be added. 3. 돌솥비빔밥(dolsot-bibimbap) / Sizzling Stone Pot Bibimbap This meal is served piping hot in an earthenware pot, consisting of rice, cooked vegetables and beef, mixed with red chili paste. The rice is deliciously crispy at the bottom. It is the one of the most popular variations of bibimbap. 4. 밥(bap) / Cooked White Rice Steamed short-grain rice. 5. 불고기덮밥(bulgogi-deopbap) / Bulgogi with Rice Stir-fried bulgogi (beef in a soy sauce marinade), served on a bed of rice. 6. 비빔밥(bibimbap) / Rice Mixed with Vegetables and Beef Rice topped with various cooked vegetables, such as zucchini, mushrooms and bean sprouts, plus beef and a fried egg. Served with red chili paste, which should be mixed in thoroughly. 7. 산채비빔밥(sanchae-bibimbap) / Mountain Vegetable Bibimbap Rice topped with lots of freshly picked mountain shoots and leafy green vegetables. Red chili paste or soy sauce seasoning is then added and mixed. It's served with red chili paste or soy sauce seasoning which should be mixed in thoroughly. 8. 쌈밥(ssambap) / Rice with Leaf Wraps A traditional meal, where diners wrap their rice in various leafy vegetables. 9. 영양돌솥밥(yeongyang-dolsotbap) / Nutritious Stone Pot Rice Rice, ginseng, chestnut, and jujubes, cooked and served in a hot stone pot. It comes with a soy sauce. 10. 오징어덮밥(ojingeo-deopbap) / Spicy Sautéed Squid with Rice Stir-fried squid and vegetables, typically onion and carrot, in a spicy sauce. It is served on rice and mixed thoroughly. 11. 콩나물국밥(kongnamul-gukbap) / Bean Sprout Soup with Rice Bean sprouts cooked in an aromatic anchovy stock. Rice added before serving and it is seasoned with shrimp sauce. 12. 잣죽(jatjuk) / Pine Nut Porridge Smooth porridge made with rice and ground pine nuts. 13. 전복죽(jeonbokjuk) / Rice Porridge with Abalone Rice porridge cooked with minced abalone. It is regarded as a delicacy. 14. 호박죽(hobakjuk) / Pumpkin Porridge Sweet, mellow porridge made with pumpkin and sticky rice flour. Beans or glutinous rice balls may also be added. 15. 흑임자죽(heugimjajuk) / Black Sesame and Rice Porridge Smooth porridge made with rice and ground black sesame seeds. Salt or sugar may also be added. 16. 만두(mandu) / Mandu Steamed mandu (Korean-style dumplings) made with meat and vegetables. The dough is distinctively delicate. Served boiled, steamed or fried. 17. 물냉면(mul-naengmyeon) / Chilled Buckwheat Noodle Soup Noodles made with buckwheat and starch. Served in a chilled beef broth with pickled radish, sliced Korean pear and a hard-boiled egg. It is often served with a side dish of vinegar and mustard. 18. 비빔국수(bibim-guksu) / Mixed Noodles Thin noodles mixed with a variety of vegetables in a hot, sweet sauce. 19. 비빔냉면(bibim-naengmyeon) / Spicy Mixed Buckwheat Noodles Buckwheat noodles and vegetables, typically radish and Korean pear, in a red chili sauce. 20. 수제비(sujebi) / Sujebi(Korean Style Pasta Soup) Soup made with small pieces of sujebi (handmade dumplings) in a stock. 21. 잔치국수(janchi-guksu) / Banquet Noodles Thin noodles in a hot, clear stock. Topped with zucchini, chopped kimchi, and dried seaweed. It is often enjoyed on special occasions, especially weddings. 22. 쟁반국수(jaengban-guksu) / Jumbo Sized Buckwheat Noodles A large platter of cold buckwheat noodles and vegetables, in a red chili sauce. 23. 칼국수(kalguksu) / Noodle Soup Soup made with flat fresh wheat noodles, zucchini and potato. Soy sauce seasoning may also be added. 24. 갈비탕(galbitang) / Short Rib Soup Soup made with simmered beef ribs and radish. 25. 감자탕(gamjatang) / Pork-on-the-Bone Soup with Potatoes Pork backbone soup, made with potatoes, green cabbage leaves, and aromatic wild sesame seeds. 26. 곰탕(gomtang) / Thick Beef Bone Soup Slowly simmered beef bone soup, served up with chopped green onion and salt. 27. 된장국(doenjangguk) / Soybean Paste Soup Soup made with soybean paste, onion, zucchini, potato, and tofu, in an anchovy or beef stock. 28. 떡국(tteokguk) / Sliced Rice Cake Soup Soup with sliced ovals of rice cake (Korean-style unsweetened rice cake) in a clear beef broth. 29. 떡만둣국(tteok-mandutguk) / Rice cake and Mandu Soup A clear soup, made with rice cake (Korean-style rice cake) and mandu(Korean-style dumplings). 30. 만둣국(mandutguk) / Mandu Soup Clear mandu(Korean-style dumplings) soup. Thin-skinned dumplings, filled with minced meat and vegetables. 31. 매운탕(maeuntang) / Spicy Fish Soup Stew consisting of seasonal freshwater fish, radish, and suk-gat (edible chrysanthemum). It has a rich, spicy flavor. 32. 미역국(miyeokguk) / Seaweed Soup Seaweed soup made in a beef or anchovy stock. It is a popular birthday meal. 33. 북엇국(bugeotguk) / Dried Pollock Soup Clear soup made with dried pollock, green onion, and garlic. A beaten egg is added just before serving. 34. 삼계탕(samgyetang) / Ginseng Chicken Soup Whole young chicken stuffed with ginseng, sticky rice, Korean dates and garlic. It is widely recognized as an energy- boosting meal during summer. 35. 설렁탕(seolleongtang) / Ox Bone Soup Nutritious soup made with beef bones and slices of beef. It is typically simmered overnight. Salt or seasoning may be added once served. 36. 우거지갈비탕(ugeoji-galbitang) / Cabbage and Short Rib Soup Soup made with green cabbage leaves and soybean paste, in a short rib broth. 37. 육개장(yukgaejang) / Spicy Beef Soup Spicy soup made with beef, leek, green bean sprouts, and bracken. It is widely recognized as an invigorating meal in the summertime. 38. 해물탕(haemultang) / Spicy Seafood Soup Spicy stew made with seasonal seafood, radish, minari (Korean parsley), and suk-gat (edible chrysanthemum). 39. 김치찌개(kimchi-jjigae) / Kimchi Stew Spicy stew made with ripened kimchi, pork, and tofu. 40. 된장찌개(doenjang-jjigae) / Soybean Paste Stew Stew made with soybean paste, tofu, clams, and vegetables. It is served piping hot in an earthenware pot. 41. 부대찌개(budae-jjigae) / Spicy Sausage Stew Stew consisting of ham, sausage, pork, kimchi, and tofu in a beef stock. It is cooked at the table. 42. 순두부찌개(sundubu-jjigae) / Spicy Soft Tofu Stew Spicy stew containing soft tofu, seafood, and sometimes egg. It is served piping hot in an earthenware pot. 43. 청국장찌개(cheonggukjang-jjigae) / Rich Soybean Paste Stew Thick, wholesome soybean paste stew, which is made with tofu, kimchi, and chilies. 44. 해물순두부찌개(haemul-sundubu-jjigae) / Seafood Soft Tofu Stew Spicy stew containing soft tofu and seafood. It is served piping hot in an earthenware pot. 45. 곱창전골(gopchang-jeongol) / Spicy Beef Tripe Hot Pot Beef tripe and vegetable hot pot. It is cooked at the table. 46. 국수전골(guksu-jeongol) / Noodles Hot Pot Beef and vegetable hot pot, cooked at the table. Noodles are added just before it is served. 47. 두부전골(dubu-jeongol) / Tofu Hot Pot A moderately spicy and well-presented hot pot, made with tofu, beef, and vegetables. It is cooked at the table. 48. 만두전골(mandu-jeongol) / Mandu Hot Pot A mandu (Korean-style dumplings) hot pot containing pork and vegetables, in a beef stock. It is cooked at the table. 49. 불낙전골(bullak-jeongol) / Bulgogi and Octopus Hot Pot A spicy hot pot made with bulgogi (beef in a soy sauce marinade ) and octopus, cooked at the table. 50. 신선로(sinseollo) / Royal Hot Pot A colorful assortment of pan-fried delicacies, in a clear stock. Historically, this meal was reserved for royalty. 51. 갈비찜(galbijjim) / Braised Short Ribs Short ribs, cooked in a soy sauce seasoning with assorted vegetables, such as carrots, mushrooms and radish. 52. 닭백숙(dak-baeksuk) / Whole Chicken Soup Simmered whole young chicken 53. 보쌈(bossam) / Napa Wraps with Pork Thin slices of boiled pork, served with kimchi that is used to wrap the meat. 54. 수육(suyuk) / Boiled Beef or Pork Slices Thinly-sliced boiled beef, served with a shrimp sauce dip. 55. 아귀찜(agwijjim) / Spicy Angler Fish with Soybean Sprouts Angler fish, braised in a spicy sauce with bean sprouts and minari (Korean parsley). 56. 족발(jokbal) / Pigs' Trotters Pigs’ feet cooked in a spiced soy sauce. It often comes with a shrimp sauce dip. 57. 해물찜(haemuljjim) / Braised Seafood A spicy seafood dish, typically made with shrimp, squid and crab. It is braised with bean sprouts and minari (Korean parsley). 58. 구절판(gujeolpan) / Platter of Nine Delicacies A colorful platter of 8 julienned vegetables and beef, served with crepes in the center. It comes with a vinegar-soy sauce or mustard dip. 59. 나물(namul) / Vegetable Side Dishes Blanched or stir-fried vegetables, seasoned in various ways. 60. 도토리묵(dotorimuk) / Acorn Jelly Salad Acorn jelly salad mixed with carrot, cucumber, chili, and suk-gat (edible chrysanthemum). It is dressed with a soy sauce seasoning. 61. 오이선(oiseon) / Stuffed Cucumber Cucumber stuffed with colorful ingredients, such as beef, carrot, and egg. It is dressed with a vinegar sauce. 62. 잡채(japchae) / Noodles with Sautéed Vegetables A colorful dish made with glass noodles, beef, carrot, and spinach in a soy sauce seasoning. 63. 탕평채(tangpyeongchae) / Mung Bean Jelly Mixed with Vegetables and Beef Slices of mung bean jelly mixed with stir-fried beef, green bean sprouts, minari (Korean parsley), and dried seaweed. Soy sauce provides the seasoning. 64. 해파리냉채(haepari-naengchae) / Jellyfish Platter Thinly-sliced jellyfish and cucumber with a vinegar-mustard sauce. It is served cold. 65. 갈치조림(galchi-jorim) / Braised Cutlassfish Braised cutlassfish with radish and chili, in a soy sauce or red chili sauce. 66. 고등어조림(godeungeo-jorim) / Braised Mackerel Braised mackerel with radish and chili, in a soy sauce or red chili sauce. 67. 두부조림(dubu-jorim) / Braised Pan-Fried Tofu Pan-fried tofu slices, braised in a soy sauce and chili powder. 68. 은대구조림(eundaegu-jorim) / Braised Cod Braised cod with radish, in a soy sauce. 69. 궁중떡볶이(gungjung-topokki) / Royal Court Rice Cake Stir-fired rice cake with beef, mushrooms and assorted vegetables, in a soy sauce. 70. 낙지볶음(nakji-bokkeum) / Stir-Fried Octopus Octopus, onion and carrot, stir-fried in a red chili sauce. 71. 닭찜(dak-jjim) / Braised Chili Chicken Chicken, potato, carrot, and onion braised in a red chili sauce. 72. 두부김치(dubu-kimchi) / Tofu with Stir-Fried Kimchi Sliced tofu, served with stir-fried kimchi and pork. 73. 떡볶이(topokki) / Stir-Fried Rice Cake A Korean dish that is stir-fried with rice cake, vegetables and fish cake in a spicy sauce. 74. 오징어볶음(ojingeo-bokkeum) / Stir-Fried Squid Stir-fried squid with vegetables, in a red chili sauce. 75. 제육볶음(jeyuk-bokkeum / dwaejigogi-bokkeum) / Stir-Fried Pork Stir-fried pork with onion, served in a spicy red chili sauce. 76. 곱창구이(gopchang-gui) / Grilled Beef Tripe Grilled beef tripe, served up with a seasoned sesame sauce. 77. 더덕구이(deodeok-gui) / Grilled Deodeok Grilled deodeok (a variety of bellflower) root, marinated in a red chili sauce. 78. 돼지갈비구이(dwaeji-galbi-gui) / Grilled Spareribs Grilled spareribs, marinated in soy sauce or red chili sauce. 79. 떡갈비(tteokgalbi) / Grilled Short Rib Patties Ground and grilled short ribs with green onion and garlic with soy sauce. 80. 뚝배기불고기(ttukbaegi-bulgogi) / Bulgogi Hot Pot Bulgogi (beef in a soy sauce marinade) cooked with vegetables and glass noodles, in a broth. It is cooked and served in an earthenware pot. 81. 로스편채(roseu-pyeonchae) / Pan-Fried Beef with Vegetables Lean slices of beef, pan-fried and then eaten with julienned vegetables. It comes with a vinegary soy sauce dip and a mustard sauce. 82. 불고기(bulgogi) / Bulgogi Thin slices of beef, marinated in a soy sauce, and usually grilled at the table. 83. 삼겹살(samgyeopsal) / Korean-Style Bacon Rashers of bacon, grilled at the table and dipped in a mixture of sesame oil and salt. 84. 생선구이(saengseon-gui) / Grilled Fish Grilled salted fish. 85. 소갈비구이(so-galbi-gui) / Grilled Beef Ribs Grilled beef ribs, often marinated in a soy sauce. 86. 오리구이(ori-gui) / Grilled Duck Slices of seasoned duck, typically grilled at the table. 87. 춘천닭갈비(Chuncheon-dak-galbi) / Spicy Grilled Chicken Stir-fried chicken with onion, cabbage, and sweet potato in a spicy red chili seasoning. 88. 황태구이(hwangtae-gui) / Seasoned and Grilled Dried Pollock Dried pollock, soaked and then grilled in a red chili sauce. 89. 감자전(gamjajeon) / Pan-Fried Potato Pancake made with ground potato. 90. 계란말이(gyeran-mari) / Rolled Omelette Thin, rolled omelette made with chopped carrot and spring onion. 91. 김치전(kimchijeon) / Kimchi Pancake Pancake made with finely chopped kimchi. 92. 모듬전(modeumjeon) / Assorted Pan-fried Delicacies Assorted pan-fried delicacies, including beef, fish fillets, mushrooms and zucchini. It comes with a soy sauce and vinegar dip. 93. 빈대떡(녹두빈대떡)(bindaetteok = nokdu-bindaetteok) / Mung Bean Pancake Pancake made with ground mung bean, pork and kimchi. It comes with a soy sauce and vinegar dip. 94. 파전(pajeon) / Green Onion Pancake A colorful pancake consisting of green onion, squid, shrimp, and oyster. It comes with a soy sauce and vinegar dip. 95. 해물파전(haemul-pajeon) / Seafood and Green Onion Pancake Pancake made with green onion and seafood. 96. 생선회(saengseonhoe) / Sliced Raw Fish Thinly-sliced raw fish. It is served with wasabi and soy sauce and a chili and vinegar dip. 97. 육회(yukhoe) / Korean Beef Tartare Julienned raw beef seasoned with salt, garlic, and sesame oil. It is served with Korean pear and garlic on top. 98. 홍어회무침(hongeohoe-muchim) / Spicy Skate in Vinegar Sliced and pickled skate, mixed with radish, Korean pear and minari (Korean parsley) in a red chili seasoning. 99. 겉절이(geotjeori) / Fresh Kimchi Unfermented napa cabbage leaves dressed in kimchi sauce, served as a side dish. 100. 깍두기(kkakdugi) / Radish Kimchi Diced radish kimchi seasoned with chili powder, leek, garlic, and fish sauce. 101. 나박김치(nabak-kimchi) / Chilled Water Kimchi A pink-tinged kimchi made with napa, thinly-sliced radish, minari (Korean parsley), in water. 102. 배추김치(baechu-kimchi) / Kimchi Cured and fermented napa cabbage kimchi, mixed with julienned white radish, leek, garlic, ginger, red chili powder, salt and fish sauce. This is the most common kind of kimchi. 103. 백김치(baek-kimchi) / White Kimchi A mild variety of kimchi, made with cured napa cabbage, Korean pear, and minari (Korean parsley). 104. 보쌈김치(bossam-kimchi) / Wrapped Kimchi Royal court kimchi wrapped around oyster, squid, Korean pear, and radish. 105. 오이소박이(oi-sobagi) / Cucumber Kimchi Cucumber kimchi filled with chives, chili powder and garlic, seasoned with fish sauce. 106. 장아찌(jangajji) / Pickled Vegetables Vegetables pickled in either soybean paste, soy sauce or red chili paste. Commonly used vegetables include radish, cucumber, chili, and garlic. 107. 간장게장(ganjang-gejang) / Soy Sauce marianted Crab Fresh crab, marinated in a spiced soy sauce seasoning. 108. 젓갈(jeotgal) / Salted Seafood Salted and fermented seafood side dishes. Commonly used ingredients are clam, shrimp, oyster, and pollock roe. 109. 경단(gyeongdan) / Sweet Rice Balls Sticky rice balls, rolled in cinnamon, black sesame, or soybean powder. 110. 꿀떡(kkultteok) / Rice Cakes with Honey inside Round, colorful rice cakes containing soft honey centers. 111. 백설기(baekseolgi) / Snow-White Rice Cakes Steamed rice cakes. 112. 약식(yaksik) / Sweet Rice with Nuts and Jujubes Steamed glutinous rice made with chestnuts, jujubes, pine nuts and cinnamon, in a honey and soy sauce seasoning. 113. 화전(hwajeon) / Flower Rice Cakes Round, flat, glutinous rice cakes, decorated with edible flowers. They are often served with syrup. 114. 강정(gangjeong) / Sweet Rice Puffs Sweet, hollow puffs made with glutinous rice flour and liquor. They are coated in honey and other ingredients, such as black bean, sesame seed, cinnamon, and pine nuts. 115. 다식(dasik) / Tea Confectionery Sumptuous treats made with pine pollen or mung bean flour, and served with tea. 116. 약과(yakgwa) / Honey Cookies Deep-fried cookies made with flour, sesame oil, Korean liquor, and honey. 117. 녹차(nokcha) / Green Tea Tea made using the youngest and greenest leaves. 118. 매실차(maesilcha) / Asian Apricot Tea Sweetened Asian apricot concentrate, diluted with hot or cold water to make a refreshing tea. 119. 수정과(sujeonggwa) / Cinnamon Punch A classic, sweet punch, flavored with ginger, cinnamon, and persimmon. 120. 식혜(sikhye) / Rice Punch A traditional, sweet-tasting drink made with malt and rice. It is also known as dansul. Always served cold. 121. 오미자화채(omija-hwachae) / Omija Punch A pink, sweet-and-sour punch made from omija (magnolia fruit) decorated with Korean pear and pine nuts. 122. 유자차(yujacha) / Citron Tea Sweetened citron concentrate, diluted with hot or cold water to make a refreshing tea. 123. 인삼차(insamcha) / Ginseng Tea Traditional tea made from ginseng. A drop of honey is often added. 124. 한정식(hanjeongsik) / Traditional Korean Set Menus Korean Table d'Hote Slap-up meals (Korean traditional set menus) consisting of rice, stew, soup, plenty of side dishes, and desserts.
    • 뉴스종합
    • 종합
    2009-11-06
  • 멀어져가는 가족들에 대한 반성
    교육은 감동이다' 모두에게 전파 조부모에 대한 인식 개선 위해 노력 가족이라는 단어가 집에서 사는 핵가족 단위의 사람들로 인식되는 세상이 현재 우리의 현 주소라고 해도 지나침이 없을 것이다. 절실한 존재라기 보다는 그저 필요에 의한 존재. 하지만 그 구성원은 말로 형용하기 힘든 가치를 가지고 있다. 본지에서는 신성자 인천한샘유치원장의 특별기고를 통해 가족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을 마련했다. 세대교류 필요성 절감하다. 원생들과 따뜻한 봄 나들이를 다녀오면서 아이들의 대화에 귀를 기울인 적이 있다. 아마도 유치원에서 '가족과 나'에 대해 배우고 난 그 무렵이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대화 중 "우리 가족은 엄마, 아빠, 나 동생 이렇게 네 식구다.", "우린 엄마, 아빠, 나 세 식군데… 근데 친척도 많아. 할머니, 할아버지, 삼촌, 고모…" 나의 부모가 내 아이들에게는 가족의 범주가 아닌 친척의 개념으로 아이들에게 인식되고 있다는 것에 내심 큰충격을 받았다. 일년 중 손에 꼽을 정도로 가족과의 만남을 가지는 어린 아이들에게서 촌수 먼 친척과 별반 다르게 느껴지지 않을 조부모의 존재는 어쩌면 당연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할아버지, 할머니가 먼 친척이 된 이 시대 흐름을 그저 시대 탓으로만 돌릴 수 없었고 교육자로서의 자책이 뒤따랐다. 그리고 '지금 내가 시작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 곰곰이 생각해 봤다. 뇌리를 스치는 작은 생각이 꼬리를 물고 이어진 끝에 교육과정과 연계된 '효 프로그램'을 발전시키기 위해 교사들과 상의하기 위한 자리를 마련했다. '가정의 달 5월'에는 아이들이 어린이날과 같은 시간을 통해 유치원과 가족, 친지에게 많은 선물을 받고 매우 즐거워하는 기회를 갖는다. 선물은 받는 것도 기쁘지만 누군가에게 선물을 할 때, '어떤 선물할까? 어떻게 줄까? 선물을 받으면 상대방은 얼마나 좋아할까?' 등등 많은 생각들로 주는 기쁨이 배가 된다. 나는 아이들에게도 그런 기쁨을 알려주고 싶었다. 어버이날을 기점으로 미리 가정에서 착한 일을 하면 용돈(2,000원~4,000원)을 모아 유치원으로 가져오도록 했고 가까운 마트에 함께 방문해 가족의 선물을 직접 골라 값을 지불하도록 했다. 아이들은 단순하고 순수했다. 자기가 갖고 싶은 장난감 앞에서 한참을 머뭇거리다가도 이내 발걸음을 돌려 엄마, 아빠의 선물을 고르고, 할아버지나 할머니와 함께 지내고 있는 아이들은 할아버지, 할머니 선물에도 고민하는 흔적이 표정에 역력히 드러났다. 한 아이가 트롯음악이 담긴 카세트 테잎을 골랐다. 한 친구가 그 아이에게 선물을 택한 이유를 묻자 "아빠가 좋아하는 노래야"라며 "차에서 들으면 좋아하실 것 같다"고 답했다. 어버이날 하루 전인 5월 7일에는 어설프게 만든 카네이션과 카드를 꼬물꼬물 포장해 집에 숨겨둘 것이라는 아이가 있었다. 아이는 "5월 8일 아침에 짜잔~하고 선물하겠다"라며 즐거운 상상에 입이 함지박만해졌다. 물론 나는 그런 아이들의 계획에 대해 부모님과 미리 상의를 했었고 아이가 선물을 내놓을 때까지 모른 척 해줄 것과 많이 기뻐하고 호응해 달라는 당부의 말을 전달했다. 5월 8일, 아이들은 등원하자마자 할말이 많은 상기된 얼굴로 선생님을 찾기에 바빴다. 그리고 선물을 전달했던 자신의 느낌과 선물을 받은 가족들의 반응을 꺼내 자랑하기에 여념이 없었다. 기대 이상으로 기뻐한 아이들의 반응만큼이나 학부모들의 소감 또한 프로그램의 발전의지를 돋우는데 크게 작용했다. 한 아이 아버님은 딸아이에게서 받은 1,000원 짜리 넥타이핀을 받고 눈물이 핑 돌았다고 전했다. 나중에 아이가 자라 결혼할 때 그 넥타이핀을 하고 식장에 들어갈 것이라는 이야기에 나와 담당 선생님들은 모두 가슴 뭉클한 감동을 경험했다. 그 이후 1회성 행사에서 그치지 않고 지속적이고 폭넓게 진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무엇이 있을까 고민하던 중에 전화 한 통을 받게 되었다. 인근 지역 '서구재가노인복지센터'에서 걸려온 전화였다. 그때 걸려 온 한통의 전화는 내가 '효프로그램'을 중시하게 된 조부모와의 세대교류 고민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했다. 재가노인복지센터에는 20여명의 치매노인이 함께 지내고 있었다. 복지센터 담당자들은 아이들이 센터를 방문해 노인들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을 갖을 수 있겠느냐는 의견을 아주 조심스럽게 물어왔다. 나는 그 의견을 듣는 순간, 지난 봄나들이에서 아이들이 나눴던 대화와 조부모에 대한 인식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생각이 떠올랐다. 바로 교사들과 함께 상의하는 시간을 가졌고 "어떤 방법으로 방문을 하면 좋을까요?"라고 질문을 던졌다. 사실, 걱정 되었던 부분은 치매노인들과 아이들간의 접근방법이었다. 혹시라도 아이들이 치매노인들을 무서워해 다가가지도 못한다면 오히려 역효과가 나는 것은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는 아이들의 순수함을 믿었고 재가노인복지센터 담당자들에게 물어물어 조심스레 진행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그리고 아이들 모두가 방문하기에는 혼잡할 것 같아 고학년에 속하는 7세(만6세) 아이들을 데리고 방문하기로 결정했다. 아이들에게는 치매 할머니, 할아버지에 대하여 미리 교육을 시켰고 즐겁고 밝은 모습으로 율동과 선물, 카드도 전달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시간을 가졌다. 방문은 추석이라는 명절을 기념해 이루어졌다. 그때만해도 선생님들과 나는 반신반의하는 나름의 걱정이 앞서 있었다. 그러나 상황은 의외였다. 작고 귀여운 아이들을 보는 것만으로도 좋아하는 어르신들을 보니 걱정은 단번에 달아났고 이런 기회를 진작에 마련하지 못한 마음에 죄송스럽기까지 했다. 아이들은 준비해 온 장기자랑과 선물들 앞에서 진심으로 기뻐해 주는 어르신들을 보며 덩달아 신나 했고, 착한 일을 했다는 자부심과 뿌듯함으로 집으로 돌아 갔다. 나는 물론이지만 우리 아이들에게도 참으로 색다르고 행복한 경험이 아니었을까? 그 후 우리 한샘유치원에서는 '서구재가노인복지센터'와 자매 결연을 맺어 연2회 주기적인 방문과 공연을 지속해 오고 있으며 이후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프로그램 중 하나인 '세대교류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천하는 계기가 됐다.
    • 칼럼·피플
    • 칼럼/기고
    2009-11-06
  • 2010학년도 사이버대학 신ㆍ편입생 12월 1일부터 선발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는 우리나라 20대 후반부터 40대 성인의 재교육을 위한 고등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한 사이버대학에서 12월 1일부터 2월 24일까지 학교별로 2010학년도 신ㆍ편입생 입학전형을 실시한다고 발표하였다. 2010학년도 19개 사이버대학(국내에서 인가되어 운영 중인 사이버대학은 지난 10월 31일 신규 설립된 1곳을 포함하여 모두 19개이다. 19개 학교를 근거법에 따라 분류하면 17개는 고등교육법상의 학교이며, 나머지 2개는 평생교육법상의 원격대학형태의 평생교육시설이다. 학제로 분류하면 17개는 4년제 학사학위기관이며, 2개는 2년제 전문학사학위기관이다.)의 입학전형 및 모집인원 등은 사이버대학의 입학처장으로 구성된 사이버대학입학전형위원회에서 협의ㆍ조정한 결과이며, 총 모집인원은 학사 57,233명(신입학 : 29,293명, 2학년 편입학 : 4,979명, 3학년 편입학 : 22,961명)과 전문학사 3,599명(신입학 : 3,330명, 2학년 편입학 : 269명)이다. 평생교육과 고등교육의 조화를 고려한 전형 실시 (전형요소) 전형은 특별전형과 일반전형을 실시하며, 대학수학능력시험성적이나 교과성적을 반영하는 대신, 필수전형요소(논술고사 또는 적성검사)와 기타전형요소(자기소개서, 학업계획서 등)를 종합하여 선발한다(각 대학별 입학 관련 사이트 참조). (3학년 편입학 확대) 각 사이버대학의 모집계획에 따르면 모집인원의 40%를 3학년 편입학에 할당하고 있다. 이는 사이버대학이 직업세계의 빠른 변화에 부응할 수 있는 재교육기관임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 그간 사이버대학 입학자의 24.7%가 전문대학 졸업자 이상 사회적 배려를 고려한 정원외 특별전형 실시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북한이탈주민자녀, 장애 및 정신지체 특별교육요구자 등 사회적 배려자를 대상으로 8,532명(선발인원의 14.0%)을 선발할 예정이다. 재외국민 및 외국인 정원외 특별전형 실시 2010학년도부터 입학정원의 20% 범위 내에서 선발이 가능해 진 해외거주 재외국민 및 외국인(고등교육법시행령 제29조제2항제7호, 원격대학형태의 평생교육시설 제외)을 포함한 재외국민 및 외국인 전형 선발인원이 3,691명 예정되어 있어, 글로벌 인재 양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학별 이색 학과 사이버대학에 가장 많이 설치된 학과는 사회복지계열이며, 오프라인 대학 등에 없는 이색학과로는 서울사이버대의 군경상담학과, 원광디지털대의 얼굴경영학과, 요가ㆍ명상학과, 경희사이버대의 외식농수산경영학과, 글로벌사이버대의 문화스토리텔링전공 등이 있다. 다른 사이버대학에는 없는 학과로는 세종사이버대의 정보보호시스템학과, 한양사이버대의 교육공학과, 한국사이버대의 소방방재학과, 대구사이버대의 행동치료학과, 지역사회개발학과, 서울디지털대 물류통상전공, 서울사이버대 금융보험학과, 사이버한국외대의 한국어학 등이다. 대학별 모집일정 및 전형요소 모집기간은 2009.12.1.부터 2010.2.24.까지이나 학교별로 일정과 선발요건 등이 다르므로 입학 관련 사이트나 홈페이지 등을 통해 꼼꼼히 살펴서 지원해야 한다.
    • 뉴스종합
    • 종합
    2009-11-06
  • ‘개방형 혁신 촉진을 위한 산ㆍ학ㆍ연 협력 활방화 방안 논의’
    우리나라 산학연의 주요 인사들이 한 자리에 모여 머리를 맞댄다. 교육과학기술부(안병만 장관)와 지식경제부(최경환 장관)는 11.6일 현대인재개발원(경기 용인 소재)에서 양 부처 공동으로 ‘산ㆍ학ㆍ연 협력 연찬회’를 개최하여, 산ㆍ학ㆍ연 협력 활성화 방안에 관해 심도있게 논의한다. -일시/장소 : 11.6(금) 14:00 ~ 20:30 / 현대인재개발원(용인 소재) 금번 ‘산ㆍ학ㆍ연 협력 연찬회’는 지난 7월 ‘과학기술인 연찬회’에 이어 교과부와 지경부가 공동으로 개최하는 행사로, 기업연구소, 정부출연연구기관, 대학(산학협력단) 등 산학연의 대표기관 120여개 기관 180여명이 대거 참여할 예정이다. 글로벌 경쟁의 가속화와 함께 기술융합화로 산ㆍ학ㆍ연 협력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산ㆍ학ㆍ연 협력은 양적으로 성장한 반면 정부주도의 산학연 협력에 머물러 있고, 특히 산ㆍ학ㆍ연간 상호 신뢰도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기업, 대학, 출연(연)이 함께 모여서 상호 이해를 증진하는 한편, 산ㆍ학ㆍ연 협력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논의함으로써 각자가 스스로 산ㆍ학ㆍ연 협력의 돌파구를 찾을 수 있는 장을 마련하기 위하여 금번 연찬회를 개최하게 된 것이다. 이번 연찬회는 다양하고 알찬 내용으로 구성된다. ‘산ㆍ학ㆍ연 협력에 대한 진단과 평가’라는 주제를 두고 산ㆍ학ㆍ연이 각자의 입장에서 현재 산ㆍ학ㆍ연 협력의 문제점을 스스로 진단하고 상대방이 고쳐야 할 부분을 솔직하게 제시할 예정이다. 아울러 정부는 최근 실시된 현장의 산학연 협력 애로사항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산학연 협력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고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또한 산ㆍ학ㆍ연 협력 활성화에 가장 필수조건이라 할 수 있는 상호 신뢰감 조성을 위해 기업, 대학, 출연(연)간에 ‘산ㆍ학ㆍ연 협력 MOU'를 체결하게 된다. MOU는 호혜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상호간의 이익이 증진될 수 있도록 상호 노력한다는 기본원칙과 함께 협력분야, 협력 협의체 구성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오명 건국대학교 총장의 ‘30년후의 코리아를 꿈꿔라’라는 주제의 특강도 계획되어 있다. 이번 연찬회를 통해 산ㆍ학ㆍ연간 상호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상호 신뢰감이 조성됨으로써 보다 발전전인 산ㆍ학ㆍ연 협력의 토대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이번 행사가 일회성 행사로 끝나지 않도록 정례화할 예정이며, 오는 12월에는 연찬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반영한 ‘산학연 협력 활성화 방안’(국과위 상정 예정)을 수립할 예정이다.
    • 뉴스종합
    • 종합
    2009-11-06
  • 학교 또는 지역 단위로 교원 채용이 가능해진다.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는 2011년부터 교육감이 학교 또는 지역단위로 초ㆍ중등교원을 신규채용할 수 있도록「교육공무원법」일부개정 법률안을 입법예고하였다. 이번 법률 개정안은 제3단계 학교자율화 추진방안(‘09.6.11)의 후속조치로, 초ㆍ중등교원이 근무여건이 열악한 지역 또는 학교단위에서 신념과 열정을 가지고 장기간 근무할 수 있도록 하여 공교육의 내실화를 기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현재 공립교사의 신규채용은 시ㆍ도교육감이 시ㆍ도교육청 단위로 공개전형을 통해 선발하고, 선발된 교원을 학교에 배치하여 3~5년 주기로 순환전보를 실시하고 있으며, 도서ㆍ벽지 지역의 경우에는 순환전보기간이 이보다 짧은 경우가 많아, 학교 특성상 장기간 근무하는 교원을 필요로 하는 학교(지역)의 경우 학생의 학습권 침해우려가 제기되는 등 문제가 지적되어 왔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학교(지역)단위 교원 신규채용제’를 도입하기 위한 법적근거 마련을 위해「교육공무원법」일부개정안을 입법예고한 것이다. 구체적인 실시 대상 학교 또는 지역은 시ㆍ도교육감이 학교 또는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일정 인원 범위내에서 자율적으로 결정하게 된다. 법안이 국회에서 통과될 경우 학교(지역)단위 교원채용에 대한 (예상)선발절차 및 방법은 아래와 같다. 이렇게 근무예정 학교 또는 지역 단위로 구분 모집한 교사의 경우 일정기간 동안 전보를 제한 받게 되며, 전보 제한 기간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동 법률안이 확정ㆍ공포된 후 ‘교육공무원임용령’에서 규정할 예정이다. 동 개정법률안은 올해 말까지 관계기관 협의 및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국회에 제출될 예정이며, 국회에서 통과될 경우 교육공무원임용령 개정 등 후속조치 후 2011학년도부터 학교(지역)단위 교원채용이 가능하도록 추진할 예정이다.
    • 뉴스종합
    • 종합
    2009-11-06
  • 건강도우미 멘토링제 운영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은 신종플루로 인한 국가 전염병 위기수준이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격상됨에 따라, 신종플루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학생이 참여하는 행사는 가급적 금지 또는 연기하도록 하였으며, 교육감을 본부장으로하는「신종플루 대책본부」를 편성, 24시간 비상대응체제를 유지한다. 보건교사가 배치되지 않은 9학급 이상의 36개교에 대해 건강도우미(간호학과 학생 및 간호사면허소지자) 배치하여 신종플루 예방활동을 강화하도록 하였으며, 발열검사 및 개인위생지도, 예방접종 업무지원 등 학교 실정에 맞게 운영하도록 하였다. 또한 학생들에 대한 신종플루 예방접종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12월초까지 신종플루 유행을 감소시키데 총력 대응 하도록 하고, 예방접종 전후 과정에 전 교사가 협조하고 학생․학부모 대상 홍보를 강화하여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당부하였으며, 정상적인 수업진행이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 휴업적용 기준에 따라 휴업을 실시하는 등 학교장중심의 대응체제를 강화하도록 하고, 학교 휴업 시 인근 학원에 대한 휴원을 검토하도록 권고하였다. 한편, 대학 수능시험을 준비중인 고3학생에 대하여는 학교급식 시 다른 학년과의 접촉방지를 위한 시차운영 및 하루 2회 이상 발열검사를 하여 증상이 있을 경우 즉시 치료받도록 하는 등 특별관리를 하고 있으며, 수능 시험장에는 신종플루 확진자 및 의심자가 시험을 볼 수 있도록 분리시험실을 마련하였으며 의사 1명, 보건교사 2명 배치하여 응급환자 발생 시 대처하도록 하였고, 신종플루로 인한 입원환자가 시험을 볼 수 있도록 제주대학교병원과 서귀포의료원을 병원시험장으로 지정하였다. 또한 분리시험실 및 병원시험장 감독관에 대하여는 신종플루 예방접종을 조기 완료하여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조치하였다.
    • 뉴스종합
    • 종합
    2009-11-06
  • 충북교육박물관 문광부로부터 경력인정대상 기관 인증
    충청북도학생교육문화원(원장 박인섭)이 운영하는 충북교육박물관에서 비정규직, 일용직, 조교, 인턴십, 학예 분야 자원봉사 등으로 근무한 경력을 학예사 자격취득 시 실무경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게 됐다. 이는 국립중앙박물관이 충북교육박물관의 현장 실사와 경영 확인을 거쳐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경력인정대상기관’으로 인증 받았기 때문이다. 학예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학력에 따라 1년에서 5년이상의 실무경력이 필요한데 실무경력은 국·공립 박물관·미술관 또는 정부가 인정하는 경력인정대상기관에서 근무한 실적만 인정된다. 충북교육박물관은 충청북도교육청이 2006년 7월에 청주시 영동에 설립한 교육전문박물관으로 2층에는 419.2㎡(126평) 규모의 제1전시실과 휴게 공간이 있으며, 3층은 470㎡(141평) 규모에 제2전시실이 있어 과거 충북 교육현장 모습을 그대로 재현해 학생들로부터 체험학습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 교육현장
    • 제주교육소식
    2009-11-06
  • 학사모 경남지부, 수능 수험생에게 개인위생용품 지원
    학교를 사랑하는 학부모 모임(학사모) 경남지부(경남상임대표 이영희)는 오는 12일 201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러는 수험생들의 건강을 위해 수능고사장에 비치하는 개인위생용품의 일부를 지원해 주겠다는 의사를 5일 경남교육청에 전달했다. 학사모 경남지부는 수능 일을 일주일 정도 앞두고, 신종 플루가 '심각' 단계로 격상한다는 소식에 수험생과 학부모들의 불안도 가중되고 있다고 밝히고 이러한 수험생과 학부모들의 불안을 조금이라도 덜어주고자 수능고사장에 비치하는 개인위생용품의 일부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학사모 경남지부가 지원하기로 한 것은 손세정티슈 100,000개(750만원 상당)로 시험 전일 11일 경남지역 6 지구 87개(교) 고사장에 도착 돼 경남지역 6지구 87개(교)고사장 응시인원 40,222명에게 지원된다 경남교육청 관계자는 “학부모님들의 정성에 학생들이 무척 고마워 할 것이며 경남지역 학생들이 모두 건강하게 시험을 잘 칠 것 같다. 우리도교육청에서도 만반의 준비와 정성을 다해 신종플루를 극복하고 수능시험을 잘 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감사의 뜻을 전달했다.
    • 뉴스종합
    • 종합
    2009-11-06
  • 인천동부교육청, 각종 위원회 前任위원 초청 간담회 개최
    인천광역시동부교육청(교육장 김진석)은 11월 5일(목) 교육공무원인사위원회를 비롯해 34개의 각종 위원회의 위원으로 재임했던 前任위원들을 초청하여 감사의 뜻을 전하고, 체계적인 위원회 운영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교육청 간부와 학부모, 퇴임 교장 등 다채로운 참여로, 외부 시각으로 바라보는 2010년도 각종 위원회의 운영계획을 검토하는 등 동부교육발전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하고 점검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위원들의 관심과 성원에 보답하고자 전 직원의 뜻을 모아 감사장을 전달하기도 하였다. 동부교육청은 위원들의 의견에 귀 기울여 새로운 각오로 지속적인 위원회 추진에 진력할 것을 다짐하고 앞으로도 외부인사와의 지속적인 간담회를 통하여 The TOP Edu-Maker, 최고의 교육메이커 동부교육청이 될 수 있도록 기대해 본다.
    • 교육현장
    • 수도권소식
    2009-11-06
  • 동서고속도로 및 경춘선 복선 전철 개통이 강원교육에 미치는 영향
    강원도교육청은 ‘09. 7. 15 개통된 경춘고속도로와 ’10년 말 개통 예정인 경춘선복선전철이 강원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여 부정적인 영향은 최소화하고, 긍정적인 효과는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 마련을 모색하고자 실시한 ‘동서고속도로 및 경춘선 복선 전철 개통이 강원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방안’ 연구(책임연구원 강원대학교 이종각 교수) 결과를 발표하였다. 동서고속도로 및 경춘선 복선 전철 개통에 따른 시․공간적 압축 효과가 강원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춘천, 원주는 인구증가 현상을 보이나, 경제력이 있고 학업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은 더 좋은 교육환경을 찾아 타 지역으로 유출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하며, 홍천, 양양은 학생수가 미미하게 증가하나 특별히 타 지역과 구별되는 훌륭한 교육환경이 없는 한, 각 급 학교의 학령인구 감소와 이들의 유출을 방지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견되며, 인제는 학생 유출현상이 심각하며 앞으로 동서고속도로가 개통되면 춘천권이나 수도권 등으로 더욱더 많은 학생들이 유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인만큼 지역 특성을 살린 교육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보았다. 학교 급별로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초등교육에는 △교육 격차 및 문화적 소외감 감소 △지역 자원을 활용한 교육 발전 기회확대 △기업유치로 인한 학생수 증가 △우수 강사 확보 용이로 다양한 특기적성교육의 활성화 △지역경제 활성화로 교육투자 여건 개선 △교육인프라 확대로 수도권과의 교육격차를 줄일 수 있는 긍정적인 면이 있는 한편, △상대적 낙후, 박탈감, 불안감 증대 등으로 도시 지역으로의 학생 전출 증가 및 지역 인재 수도권 유출 증가 △수도권 및 인근 도시 지역의 통학생 증가 △농산어촌 소규모학교의 통폐합 가속화 △사교육 시장 확대로 인한 사교육비 증가 △공기오염, 교통 소음에 따른 학생 건강관리 및 교육활동 지장 △도시 유흥문화 유입으로 인한 비교육적 환경 조성 등 부정적 측면도 발생할 것으로 보았다. 중등교육에는 △학부모의 요구(쾌적한 학교환경 요구, 질 높은 교육과정, 상급학교 진학의 경쟁력, 자녀들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케어(care) 프로그램 등)의 다양화·고급화로 교육과정의 고품질화 △학교 교육여건 개선 △지역사회 차원의 교육인프라 (도서관, 상담기관, 학습 지원 기관, 체험기관) 구축 △진로프로그램의 고급화 등의 노력이 진행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 단위학교 간의 협력 및 지원체제 강화 △전략적 정책(학생유입정책-소규모 중고등학교 특성화 및 학교유치)을 어떻게 추진하는가에 따라 잠재 수요 유입 가속화 △ 첨단 업체 종사자 자녀를 위한 새로운 학교 설립 등 긍정적 영향을 예측하는 한편, △우수 학생의 수도권 유출 △수도권 의존적 학습형태의 일반화로 인한 교육의 공동화 초래 △도내 지역 간 교육 불평등 심화 등의 부정적 영향을 예측하였다. 연구결과에 기초한 전략적 대응방안으로 교육유목민의 증가에 대비한 수요자 탄력성 높은 학교 만들기, 세계화 직통전략, 모블렌디드교육 강화, 교육특구 전략 등 블루오션 전략 추진과 학교와 지역사회 간 교육협력강화 전략 등을 제시하였다. ※ 모블렌디드(mobile+blended) 교육은 이동교육과 블렌디드교육을 조합한 ‘이동교육 동원화 체제 구축 전략’으로 집중화, 전문화(세부), 최고화, 동원화를 위해 고품질의 이동교육지원 체제 구축 강원도교육청은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계산 가능한 위험(risk)'과 ’불확실한 위기(crisis)‘를 최소화하고, 강원교육의 강점을 살려 으뜸 강원교육을 실현하고 교육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2010년 주요업무계획‘과 ’2010~2013 강원교육발전계획‘ 반영하고자 한다.
    • 교육현장
    • 제주교육소식
    2009-11-06
  • 단위학교에서의 영재교육은 이렇게~
    산곡남중학교(교장 이영숙)는 11월 5일 인천광역시교육청지정 영재교육 시범학교 1/2차년도 보고회를 가졌다. 2009. 3.1부터 ‘체계적 인재 관리 시스템 구축 및 방과 후 학교와 연계한 영재학급 운영 방안’이라는 주제로 단위학교에서의 영재학급 운영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산곡남중학교는 그동안 다단계 선발평가에 의해 선발된 수학 ․ 과학 영재 1, 2학년 20명, 3학년 20명과 영어영재 1, 2학년 20명, 3학년 20명 총 80명을 대상으로 능력과 적성에 맞는 맞춤식 수업을 전개하고자 노력하였다. 산곡남중학교는 일시적인 영재교육이 아닌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이 되고자 방과후학교, 계발활동, 방학 중 집중 캠프 등의 다양한 활동을 연계하여 연중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을 통해 학생은 75%이상이 만족하고 있으며, 특히 학부모는 80%이상이 만족함으로써 큰 호응을 받고 있다. 이 날 보고회에는 북부교육청 관내 영재담당교사 및 영재교육에 관심이 많은 교사들이 참석하였으며, 1년 동안의 운영 보고와 함께 1차년도 운영의 문제점을 토론하여 2차년도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토론의 장이 마련되었고,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부 권란주 교수의 ‘창의성과 구체성’이라는 주제로 초청 강연도 진행되었다. 권 교수는 "개인의 창의적 능력은 과제 구체성을 지니며 다양한 활동으로 계발될 수 있으며, 학교와 가정에서 학생을 세심하게 관찰하고 풍부한 창의적 사고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다양한 활동 중심의 단위학교에서 영재교육은 매우 가치있는 활동이다"라고 역설하였다. 이 날 보고회에 참여한 최미선 교사는 "단위학교에서의 영재교육은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으나 어떻게 운영할 수 있을까 고민하였는데 산곡남중의 사례를 보고 실마리를 풀 수 있게 되었다."고 얘기했다.
    • 교육현장
    • 수도권소식
    2009-11-06
  • 인천시교육청, 제10회 초-중-고 연합영상제 개최
    인천시교육청이 주최하고 인천교육방송연구회가 주관하는 제10회 인천시 초-중-고등학교 연합영상제가 오는 7일(토), 인천 평생학습관에서 개최된다. 올해로 10회를 맞은 초-중-고 연합영상제는 학생들의 영상작품 제작활동을 통해 자주적이고 창의적인 영상작품 제작과 활용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매년 인천시교육청이 개최되고 있다. 작품의 주제를“자유”로 정해 열리는 이번 연합영상제는 총356명의 학생들이 참여해 55편의 일반영상과 63편의 UCC 영상 등 총 118편의 창작품들이 출품됐다. 영상제에서는 출품작품 중 심사를 통과한 대상 1편, 금상3편, 은상 8편, 동상 12편 등 총 24개의 수상작품이 표창, 발표될 예정이다. 출품작 중 영예의 ‘대상’은 인하대부속고 김용진 학생 외 5명이 출품한 “우나즈킨”(지도교사 정현식)이 차지했다. 이 작품은 “우즈나킨”이라는 인형을 통해 ‘자신의 노력 없이 요행을 바라게 되면 결국 성공할 수 없다’는 교훈을 재미있고 창의적으로 표현해 심사위원들의 높은 점수를 받았다. 또한 다문화 가정에 대한 우리들의 잘못된 시각과 편견을 일깨워 준 작품“일곱색깔 무지개”(천마초교 정지예 학생외 5명)와 진심으로 봉사활동에 임하는 학생들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보여준 “진짜 진짜 행복해”(부평고 홍민지외 1명), 그리고, 2013년 우리나라의 심각한 물부족 현상을 기발한 상상으로 그려낸 UCC 작품‘워터쇼크’(계양고 김진수외 2명)가 각각 금상을 차지했다. 인천시교육청은 창의적 영상작품 제작활동을 통해 초․중․고 학생들의 개성과 협동심을 신장시키고 올바른 청소년 영상문화를 정립하기 위해 초․중․고 연합영상제를 학생들의 건전한 축제문화로 발전시켜 나갈 방침이다.
    • 교육현장
    • 수도권소식
    2009-11-06
  • [기획연재 - 교육법률산책] 11 '교사의 수업권' 그 보장과 한계
    본 기고문 또는 교육 관련 각종 법률문제에 관하여 궁금한 점이 있는 분은 본지 담당기자(양원석 기자 yws@eduyonhap.com)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기획·연재
    • 연재
    2009-11-05
  • [기획연재 - 교육법률산책] 10 '마음이 담긴 작은 선물' - '촌지'의 한계
    본 기고문 또는 교육 관련 각종 법률문제에 관하여 궁금한 점이 있는 분은 본지 담당기자(양원석 기자 yws@eduyonhap.com)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기획·연재
    • 연재
    2009-11-05
  • [기획연재 - 교육법률산책] 09 '교사의 수업권' 그 보장과 한계
    본 기고문 또는 교육 관련 각종 법률문제에 관하여 궁금한 점이 있는 분은 본지 담당 기자(양원석 기자 yws@eduyonhap.com)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기획·연재
    • 연재
    2009-11-05
  • [기획연재 - 교육법률산책] 08 '학파라치'제도를 둘러싼 법적 논의
    본 기고문 또는 교육 관련 각종 법률문제에 관하여 궁금한 점이 있는 분은 본지 담당 기자(양원석 기자 yws@eduyonhap.com)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기획·연재
    • 연재
    2009-11-05
  • [기획연재 - 교육법률산책] 07 교육환경 조성을 위해 직업의 자유를 제한한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본 기고문 또는 교육 관련 각종 법률문제에 관하여 궁금한 점이 있는 분은 본지 담당 기자 (양원석 기자 yws@eduyonhap.com)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기획·연재
    • 연재
    2009-11-05
  • [기획연재 - 교육법률산책] 06 학교폭력의 민사적 책임
    본 기고문 또는 교육 관련 각종 법률문제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는 분은 본지 담당 기자(양원석 기자 yws@eduyonhap.com)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기획·연재
    • 연재
    2009-11-05
  • ‘봉사초심자’를 위한 ‘봉사가이드’
    순수 민간 주도, 지자체 적극 지원, 자원봉사의 새로운 민관협력모델로 눈길 끌어 봉사란 말은 받들고(奉) 섬긴다(仕)는 뜻을 지닌 말이다. 여섯시도 안 돼 해넘이가 시작되고 밤이 길어질수록, 온도계의 수은주가 내려갈수록 봉사란 말은 더 자주 듣게 된다. 일상 속에서 생활화되고 선진화 된, 세련된 느낌(?)마저 주는 서구의 봉사와 품앗이, 두레, 수눌음(제주 특유의 품앗이 형태) 등의 모습에서 볼 수 있는 우리의 전통적 봉사는 적어도 그 원형에 있어서는 같은 뜻을 담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 시간이 흐르고 우리의 걸음걸이가 빨라질수록 봉사란 두 글자는 어느덧 고리타분하고 심지어 식상한 느낌마저 주는 말이 되고 있다. 남을 돌아볼 겨를이 없어서일까? 그런데 이상한 일이다. 오히려 도움을 받아도 모자랄 사람들이, 그래서 남을 돌아볼 겨를로 치자면 도무지 그럴 여유가 없을 사람들이 참 태연한 모습으로 내 품에서 먹을 것, 입을 것을 다른 이에게 내어놓는다. 그러면서 왜 그러느냐 물을라치면 그게 뭐 궁금하냐는 듯이 천연덕스럽게 묻는 이를 바라본다. 그 눈빛이 물어보는 이를 민망하고 당혹스럽게 만든다. 그렇다면 봉사가 식상하게 된 것은 남을 돌아볼 겨를이 있고 없고의 문제가 아니라는 말이 된다. 한 겨울 구세군 앞에 놓인 빨간 냄비통에 쌓이는 돈을 봐도 같은 대답을 할 수밖에 없다. 못사는 동네, 아니 찢어지게 가난한 동네에 놓인 냄비통의 무게가 도심 한가운데 대로변에 놓인 냄비통의 무게보다 덜하지 않으니 말이다. 무엇이 문제일까? 아니 봉사가 식상하지 않을 수 있도록 만드는 묘약 같은 것은 없을까? 가난은 나라님도 어찌 할 수 없다고 하지만 이 세상이 삐걱대면서도 이만큼이나 돌아가는 데는 받들고 섬기는 일이 일상인 이름 모를 우리네 이웃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묘약은 아니더라도 봉사가 일상 속 생활의 일과가 될 수 있는 방법을 알려 줄 수 있는 사람은 없을까? 봉사를 처음 생각하는 어리석은 초심자들이 겁먹지 않도록 너무 무겁거나 혹은 너무 진지하지 않으면서도 내가 가진 아주 작은 힘과 시간이 뻥튀기처럼 부풀어올라 다른 이에게 희망과 웃음이 될 수 있음을 친절하게 알려줄 수 있는 초심자를 위한 ‘봉사가이드’는 없을까? 봉사를 첫 시작하는 초심자에게는 이미 일가를 이루신 선종(善終)하신 선우경식 원장(영등포 요셉의원 설립자)이나 성산 장기려 선생(국내 공공의료보험의 효시인 청십자의료보험 조직) 같은 분들은 존경과 경외의 대상이지만 감히 그 모습을 흉내내기초자 힘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담 없이 봉사의 맛을 느끼고 그 맛에 점점 더 익숙하게 이끌어 줄 수 있는 친절한 도우미가 필요하다. 홍어를 먹을 때도 초심자는 먼저 덜 삭힌 홍어로 만든 삼합부터 시작하는 것처럼. 그래서 오늘은 ‘봉사초심자’를 위한 친절한 ‘봉사가이드’를 만나본다. 아울러 가이드를 돕는 친절한 보조자도 함께 만나본다. 김명희(左) 회장은 서울 강남에 위치한 대치2동 자원봉사회장이다. 10여년전 개인적으로 결식아동을 위한 봉사를 시작한 이래 학생과 청소년을 위한 상담과 지도, 자원봉사 교육, 장학회 사업, 학부모 상담과 교육, 가정법원 국선보조인, 보호처분 학생에 대한 장기 상담 등 주로 청소년 상담과 교육, 장학 사업을 중심으로 자원봉사를 하고 있다. 강남 구룡중학교에서의 학생상담 봉사는 시작한지 10년이 넘었다. 이 같은 공로로 작년 서울시 시민상을 수상했다. 이동호(右) 대치2동장은 민간 주도의 봉사활동에 관(官)은 ‘지원하나 간섭은 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가지고 김명희 회장의 자원봉사활동을 정성을 다해 돕는 숨은 보조자이다. 수많은 자원봉사자 중 김 회장을 ‘봉사초심자’를 위한 ‘봉사가이드’로 선정한데는 바로 일상 속 생활의 일과와도 같은 자원봉사를 10년이 넘는 세월동안 한결같은 모습으로 계속해 오고 있기 때문이다. 처음 자원봉사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가 있다면 소개해 달라. 김명희 회장 : 지금부터 약 12년전이었다. 그때까지는 나 또한 주변을 둘러볼 겨를 없이 정신없이 일만했다. 다른 사람들과 다를 바 없었다. 지친 심신을 달랠 겸 큰마음을 먹고 캐나다 여행길에 올랐다. 그런데 여행 중에 조난을 당할 어려움에 처했다. 폭설이 내리는 가운데 길을 잃고 차까지 눈에 빠져 옴짝달싹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그때 우연히 길을 가던 한 캐나다인이 차에서 내려 우리가 처한 상황을 알아차리고 도움을 주기 시작했다. 그런데 그 모습이 정말 헌신적이었다. 누가 그렇게 하라고 시켜도 할 수 없을 만큼 성심을 다해 우리를 도왔고 내리는 눈발이 흐르는 땀과 만나 그의 얼굴에는 고드름까지 피어났다. 얼마나 지났을까? 우리는 그분의 도움으로 무사히 차를 눈에서 꺼내고 그로부터 목적지까지 가는 자세한 길 안내를 받았다. 주머니를 뒤져보니 몇 달러가 있었다. 얼마 안 되는 작은 돈이었으나 진심으로 감사한 마음을 표시하고 싶었다. 그러나 그분은 사람 좋은 웃음을 지으며 내게 받은 도움에 대한 감사는 다른 사람이 지금 당신들과 같은 어려움에 처했을 때 그들을 돕는 것이라는 말을 남기고 사라졌다. 부끄러웠다. 나와 내 가족만을 생각하며 보낸 지난날을 되돌아 볼 수 있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자원봉사는 어떻게 시작했나? 김명희 회장 : 처음에는 개인적으로 주위에 결식아동이 있다는 사실을 우연히 알고 작은 후원을 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좀 더 체계적으로 자원봉사를 배우고 싶어 한양대에서 청소년상담과정을 배웠다. 이때 동료의 권유로 자원봉사센터에서 학생과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상담과 교육활동을 시작했다. 그러던 중 학교로 자원봉사교육을 갔다가 돈이 없어 점심을 굶는 학생이 의외로 많다는 사실을 알고 아파트 주민들과 함께 뜻을 모아 조그만 모임을 만들어 학비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지금 강남 미도장학회의 첫 시작이었다. 강남에 결식아동이 많다는 말은 솔직히 낯설다. 이동호 동장 : 결식아동뿐만 아니라 갑작스런 부도 등 가정의 어려움으로 학업중단의 위기에 놓인 학생도 많다. 또 생계곤란 등 어려움을 겪는 취약계층도 상당히 많다. 참고로 강남 지역 기초생활수급권자의 수가 모두 5,216가구에 9,300여명으로 서울 전체 25개 구 중 6위에 이를 정도로 많다. 언론에서 비춰진 화려하고 사치스런 강남의 모습은 강남 중 일부의 모습이다. 강남에 산다고 모든 사람들이 다 그렇게 사는 것은 결코 아니다. 강남하면 떠오르는 사치스럽고 호화로운 모습들은 사실 많이 과장되었다. 김명희 회장 : 낯설어 하는 것을 이해 할 수 있지만 이곳을 바라보는 시각이 다소 과장되고 왜곡되었을 뿐 결식아동과 학업중단의 어려움에 처한 학생들이 다른 지역 못지않게 많다는 것이 분명한 현실이다. 다행히 강남구청의 도움으로 지금은 돈이 없어 밥을 굶는 학생은 크게 줄었다. 장학회 활동에 대해 소개해 달라. 김명희 회장 : 앞서 말한 대로 내가 살던 아파트(미도아파트) 주민들이 모여 결식아동과 학업중단의 위기에 놓은 학생들의 학비를 지원하면서 시작했다. 그때가 2003년이었으니 이제 약 7년이 되었다. 지금은 6개의 중학교와 4개의 고등학교에 학교 당 2명씩 모두 20명의 학생들에게 매월 학비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결식문제는 구청의 도움으로 해결이 되었으나 등록금과 급식비가 지원된다고 해서 그것만으로 어린 학생들에게 해 줄 것을 다해줬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어린 학생들이 상처받지 않고 구김살 없이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우리의 목적이다. 특히 올해 4월에는 기존의 미도장학회가 바탕이 돼 대치자원봉사회가 구성됐다. 이제는 학생들뿐만 아니라 학부모와 지역주민들에게도 자원봉사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할 수 있고 더욱 다양한 봉사활동을 할 수 있게 됐다. 순수하게 지역주민이 만든 자원봉사회가 주민자치센터의 직능단체로 편입된 것은 이번이 전국에서 처음일 것이다. 주민자체센터가 자원봉사회를 지원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이동호 동장 : 구청에서 근무할 때 만두를 빚는 한 식당 사장님이 있었다. 매 달 정기적으로 20박스의 만두를 만들어 인근 노인정 등에 보내달라고 전화를 하시곤 했다. 나누는 물건의 크기나 가치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그 마음이 고맙고 인상적이었다. 김 회장을 돕기 시작한 것도 같은 이유에서였다. 봉사회에 대한 관심과 참여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홍보를 적극 돕고 장소를 무상 제공하는 등 할 수 있는 한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으려고 한다. 십년 넘게 자원봉사를 하고 있다. 봉사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김명희 회장 : 내가 가진 지식과 경험을 내 이웃과 나누는 것이다. 봉사는 결코 어려운 것도 대단한 것도 아니다. 큰돈이 있어야 하는 것도 아니고 배운 게 많아야 하는 것도 아니다. 특별한 소명을 받은 성직자와 같은 분들만이 하는 것도 아니다. 한 마디로 자원봉사는 거창한 것이 아니다. 그저 바로 내 이웃에게 내가 가진 그 무엇인가를 내 형편에 맞게 나눠주는 것이다. 특히 사회적으로 볼 때 사회지도층과 여론주도층에 있는 이른바 ‘가진 자’와 ‘있는 자’가 봉사의 전면에 나서야 한다. 이들이 먼저 이웃에게 손을 내밀고 그들이 가진 전문적인 기술과 지식, 노하우와 경험 등을 도움이 필요한 이들을 위해 흔쾌히 나누는 모습이 일상화되어야 한다. 가장 안타까운 점이 있다면 무엇인가? 김명희 회장 : 가장 안타까운 것은 자원봉사를 바라보는 이중적인 시선이다. 한편으로는 마음은 있어도 자원봉사를 너무 어렵게 생각해 쉽게 접근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는가하면, 다른 한편으로는 봉사 자체를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봉사를 마치 경제적으로 부유하고 시간이 많은 사람들이나 하는 것으로 왜곡해 본다. 정작 도움이 절실한 이웃의 어려움에는 눈길 한 번 주지 않으면서 잘못된 점만을 말한다. 정말 이웃에게 애정이 있는 사람이라면 직접 자원봉사에 참여하면서 잘못된 점을 지적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자원봉사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자원봉사에 대해 사람들에게 당부하고 싶은 점은 무엇인가? 김명희 회장 : 자원봉사는 어려서부터 몸에 베이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어린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자원봉사 기초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어려서부터 자원봉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져야만 이들이 일상 속에서 자연스런 자원봉사를 실천할 것이고 다시 그 자녀가 이들을 보고 배우며 일상생활 속 자원봉사가 우리 사회에 깊이 뿌리내릴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학생과 청소년을 위한 자원봉사 교육에 더 관심을 기울이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학생들과 학부모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김명희 회장 : 명문대의 진학만이 행복을 보장해 주는 것은 결코 아니라는 점을 말하고 싶다. 딸이 고3이었을 때 가족모두가 함께 3주간 여행을 떠난 적이 있었다. 그때 학교에서는 딸의 대학진학을 포기할 것이냐는 반응을 보였다. 시간이 흘러 얼마 전 딸이 그런 말을 했다. 그때 여행이 가장 행복했었다고… 지금 딸은 대학을 졸업하고 가정을 꾸려 행복하게 살고 있다.
    • 칼럼·피플
    • 에듀人포커스
    2009-11-05
  • [특집]긴급대담-문상주 한국학원총연합회장
    ‣ 사교육비 줄이는 정책에는 공감...방법은 문제 있어 ‣ 전체 95% '동네학원'죽고 대형학원만 살아남게 될 것... ‣ 규제일변도 학원정책, 방향전환 필요해 ‣ 신고포상금제, 고액과외 등에는 실효성 거두지 못해 ‣ 교습시간 제한 통해 학생 건강권 보호되지는 않아 여름과 겨울, 햇빛과 그늘, 밤과 낮...이 세상은 언제나 대칭되는 그 무엇이 있다. 그러나 대칭이 반대 또는 상극을 뜻하는 것만은 아니다. 오히려 서로가 서로를 보완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아니 상극의 관계보다는 보완관계가 더 많을 것이다. 자연계의 조화를 이루는 두 개의 닮은 듯 다른 구성요소일 뿐이다. 그것을 반대 혹은 상극으로 여기거나 보완관계로 여기는 것은 어쩌면 그것을 마주하는 사람들의 눈길에 따른 착시일지도 모른다. 교육에도 대칭되는 것이 있다. 공교육이 있다면 반대편에는 사교육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공교육과 사교육은 상극의 관계일까? 아니면 보완의 관계일까? 답은 이 관계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마음에 있지는 않을까? 공교육의 내실화와 사교육비 경감이라는 교육목표의 달성을 위해 정부는 그 동안 막대한 재정지원과 과감한 정책들을 쏟아내고 있다. 이 두 가지 목표의 추진을 반대하는 이는 없을 것이다. 모든 국민이 원하는 최우선 과제임이 너무도 분명하기 때문이다. 한편 우리교육에 있어 이 두 가지 문제만큼 해결하기 어려운 난제도 찾기 어렵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서로 충돌하거나 갈등을 일으킬 수밖에 없는 구조 때문일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그 해법은 무엇일까? 안타깝게도 아직 완전한 해법은 나오지 않은 듯하다. 지난 화요일 서울 여의도에서는 약 3만명에 이르는 학원장과 학원종사자들이 모여 정부의 사교육 정책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분위기는 강경했고 참여 열기는 뜨거웠다. 그리고 그들은 정부에 대해 봇물 터지듯 울분을 쏟아냈다. 궁금했다. 그들이 정부에 대해 불만을 나타내는 이유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들이 하고 싶은 이야기가 무엇인지 들어보고 싶었다. 그래서 이번호에서는 한국학원총연합회 문상주 회장의 이야기를 들어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심오한 지혜를 구하거나 선문답을 듣자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들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들어보기 위함이다. 공교육의 대칭에 선 그들의 솔직한 이야기를 담아내면서 다시 한 번 ‘공교육의 내실화와 사교육비 경감’이라는 우리 교육의 어려운 난제를 풀기 위한 해법을 함께 고민해 보고자 한다. 문상주 회장은 현재 한국학원총연합회장과 직능경제인단체총연합회장 등을 겸하고 있으며 고려학원, 고려출판, 고려정보전문학교, 고려건설 등을 경영하고 있다. 사회교육과 청소년지도를 공로로 국민훈장 석류장, 동백장을 수훈했으며, 월드컵 유공으로 체육훈장 거상장을 수훈했다. 문교부, 내무부 장관상과 제23회 서울시 교육상 등을 수상했다. 지난 화요일 전국 학원이 휴원을 결의하면서까지 학원교육자 대회를 열었다. 서울에서 1만5천명, 전국적으로 약 3만여명이 이 날 집회에 참석했다고 들었다. 이와 같은 대규모 집회를 연 이유가 무엇인가? 일방적으로 학원을 억압하는 정부정책은 잘못되었다는 점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사교육과 공교육을 구분하는 것부터 잘못됐다고 본다. 사교육이란 말은 우리나라에만 있다. 정부는 교육을 공교육과 사교육으로 나누어 공교육은 선하고 사교육은 악하다는 식의 이분법적 논리를 취하고 있다. 그러면서 학원의 순기능과 그 동안 학원이 우리나라 교육에 기여한 부분은 전혀 인정하지 않고 마치 학원을 범죄자인양 취급하며 억압하고 있다. 지금 국회에는 17개에 이르는 각종 학원 규제 법률안들이 계류 중이다. 또 정부는 교습시간 제한, 아른바 학파라치 제도의 실시, 방과후학교의 확대 등 학원운영을 원천적으로 억압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교습시간 제한, 학파라치제, 방과후학교 등은 정부의 핵심 교육 정책들이다. 그렇다면 정부의 사교육 정책 자체를 반대하는 것인가? 분명히 말하지만 우리 학원인들은 사교육비를 줄이겠다는 대통령의 뜻과 의지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찬성하고 지지한다. 사교육비 경감은 그 어느 누구보다도 우리가 더 원하는 바이다. 그러나 방법은 잘못됐다. 이점을 분명히 밝히기 위해 지난 주 집회를 연 것이다. 어떤 부분이 잘못됐다고 보는가? 결론부터 이야기 하자면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하나는 정부정책이 현실을 고려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는 점이다. 공교육만 교육은 아니다. 학원인들도 교육자고 이 나라의 국민이다. 그런데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영세한 동네학원들의 사정과 현실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 두 번째로 학원을 운영할 수 있도록 인가를 내 주고 다시 이를 억압하는 것은 모순이다. 이럴수록 음성적인 사교육은 더 증가할 것이고 사교육 부담은 더욱 커질 것이다. 시장의 기능과 논리에 맡겨야 한다. 현실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말해 달라. 우선 정부가 생각하는 것과 현실은 다르다. 앞서 말한 대로 전체 학원 중 95% 이상을 차지하는 절대다수의 학원은 영세한 중소규모의 이른바 동네학원들이다. 그리고 이들은 언론에서 나오는 것처럼 고액의 수강료를 받지도 않는다. 결국 소수의 대형학원과 강남 등 극히 서울 일부지역에서 발생하는 부정적인 모습이 마치 전체 모든 학원의 모습처럼 왜곡되고 있다. 다음으로 이렇게 일방적으로 학원을 말살하는 정책을 추진한다면 결국 대부분의 동네학원은 그 존립기반을 잃고 폐업을 하게 될 것이고 소수의 대형학원들만이 남게 될 것이다. 또 고액과외, 조기유학 등 고가의 음성적 사교육은 더 활개를 칠 것이다. 정부는 이 같은 현실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시장의 기능과 논리에 맡겨야 한다는 말은 어떤 의미인가? 법령을 준수하면서 합법적으로 학원을 운영하는 대다수 학원에 대해서는 규제일변도로 단속하고 억압할 것이 아니라 동네학원이 공교육과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도와준다는 것이 다른 것이 아니다. 학부모와 학생이 자유롭게 학원의 교육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점에서 시장의 기능과 논리에 맡겨야 하다는 말을 한 것이다. 시장에 맡긴다면 사교육비 부담은 더 늘어날 위험이 크다. 결국 사교육비 증가를 방치하자는 말이나 같지 않은가? 분명히 해 둘 것이 있다. 첫 번째 학원만이 사교육은 아니다. 사교육 하면 학원 특히 서울 일부지역의 대형학원을 떠올리는데 이는 잘못된 것이다. 사교육비 부담을 증가시키는 주요원인은 학원보다는 고액 불법과외와 조기유학에 있다. 내가 말한 시장은 법령을 준수하고 합법적으로 운영하는 대대수의 동네학원을 말한 것이지 고액의 수강료를 받는 불법 과외나 학원을 말한 것이 아니다. 두 번째 고액의 수강료를 받는 등 불법영업을 하는 학원은 강력히 단속해야 한다. 이미 지난 주 고액과외와 조기유학 등 사교육비 부담을 부추기는 고액 불법 사교육 행위에 대해서는 더욱 강력한 단속과 처벌을 정부에 요구한바 있다. 같은 맥락에서 고액 수강료를 받는 학원도 더욱 강력하게 단속해야 한다. 시장의 기능과 논리에 맡기자는 것은 저렴한 수강료를 받으며 합법적으로 운영되는 학원에 대해서는 규제와 단속보다 공교육과 함께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는 대안을 함께 모색할 수 있도록 해 달라는 것이다. 학부모와 학생이 저렴한 비용으로 부족한 수업을 보충하기 위해 또는 본인의 특기와 소질을 살리기 위해 자유롭게 학원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이렇게 된다면 사교육은 공교육의 적이 아니라 공교육이 못 다하는 부족한 부분을 매워줄 수 있는 훌륭한 동반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지난 주 집회에서 학원 교습시간 제한, 학파라치제, 방과후수업 등 현재 추진되고 있는 정책들에 대해 모두 반대한다고 했다. 우선 학원 교습시간을 제한한 것은 학생의 건강권을 보호하고 과도한 입시경쟁을 막자는 취지인데 이를 반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밤 열시가 넘는다고 학생들이 공부를 중단하지는 않는다. 학생의 건강권 때문에 그렇다면 학교의 야간 자율학습도 열시를 넘지 않도록 하고 독서실 운영도 열시로 제한해야 한다. 집에서도 마찬가지가 되어야 한다. 그런데 자녀가 밤 열시 넘어 공부한다고 이를 막을 학부모가 어디 있는가? 교습시간을 제한한다고 해서 학생의 건강권이 보호되지는 않을 것이다.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조치로 학원인들의 직업선택의 자유만 침해하는 것이다. 학원 불법영업에 대한 신고포상금제(학파라치)에 대해서도 반대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고액 수강료를 받는 학원과 불법과외 등에 대한 단속의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것으로 이 부분은 연합회에서도 적극 찬성하고 오히려 더욱 강력한 단속이 되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신고포상금제를 반대하는 것은 모순이 아닌가? 고액 불법과외나 고액의 수강료를 받는 학원은 더 강력히 단속해야 한다. 그러나 신고포상금제를 실시한다고 해서 고액 불법과외나 고액 수강료 학원의 불법행위가 근절될 수 있는가? 실제 현재까지 신고포상금이 지급된 사례를 보라. 고액 불법과외나 고액 수강료를 이유로 한 신고는 매우 적다. 대부분이 교습시간 위반이나 무등록 영업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단속 지역을 봐도 고액 불법과외 등이 성행하는 서울 강남과 목동 등 이른바 사교육 벨트 지역에서의 단속 건수는 그리 많지 않다. 그나마 고액 불법과외나 고액 수강료 적발건수는 더욱 적다. 결국 지금까지의 실적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신고포상금제는 고액 불법과외나 고액 수강료 단속에는 효과가 거의 없다. 소리만 요란할 뿐이다. 오히려 이로 인해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학원인들을 마치 범죄자 취급하고 학부모와 학생 그리고 학원사이의 불신을 조장하고 있다. 방과후학교에 대해서도 반대하고 있다. 이 사업은 저소득층 등 교육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장하고 교육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또 날로 늘어나는 사교육비를 경감하는데도 기여하고 있다. 지역 별 차이는 있겠으나 전반적으로 만족도도 높은 제도이다. 그럼에도 연합회가 이를 반대하는 것은 지나친 학원이기주의 아닌가? 저소득층을 비롯해 소외계층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장하고 학습능력을 개선하는 것이라면 반대할 이유가 없다. 오히려 적극 지지한다. 그러나 현재 방과후학교는 그 수준을 넘어서 학교가 학원화되고 있다. 학원에서 가르치는 영역을 이제는 모두 학교가 대신하려고 한다. 결국 학원을 말살하겠다는 것이나 다름이 없다. 또 그 속을 들여다보면 많은 수의 방과후학교는 이름만 거창할 뿐 수업은 부실한 곳이 한 두 곳이 아니다. 전수조사를 해보면 실제 방과후학교가 정부가 말하는 것처럼 성공적으로 운영되는 것은 많지 않을 것이다. 막대한 비용을 들이면서도 효율은 낮은 전형적인 고비용 저효율 정책이며 겉포장만 화려할뿐 속은 부실한 사업이다. 학교가 담당할 영역과 학원이 담당할 영역이 따로 있다. 학원이 담당할 영역까지 막대한 비용을 들이면서 학교가 이를 대신하려 하지 말고 저렴한 수강료로 전문적인 경험과 노하우를 가진 동네학원에 방과후학교의 기능을 맡겨달라는 것이다. 현재 외고폐지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정치권은 물론이고 교원단체나 학보모단체도 입장이 다르다. 외고폐지논란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한 가지 더 외고폐지 논의의 핵심은 사교육비 경감이다. 외고를 폐지하면 사교육비가 크게 줄어들 것이라는 의견이 있다. 이 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외고폐지에 대해서는 내가 말 할 사안은 아닌 것 같다. 단 사견임을 전제로 외고를 폐지한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본다. 문제의 핵심은 외고가 본래의 설립취지를 벗어나 명문대에 입학하기 위한 관문처럼 변질되고 있다는 것이다. 국제화 시대에 우수한 외국어 실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한다는 취지는 상당히 퇴색되었다고 본다. 본래의 취지와는 달리 인문계 학생들을 위한 명문고의 모습으로 변질된 것 같다. 따라서 공청회 등을 통해 전문가와 시민단체 등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해 외고가 지금의 기형적인 모습에서 벗어나 본래의 취지에 맞는 모습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사교육비와 관련해서는 외고가 사교육비 증가에 영향을 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외고를 폐지한다고 해서 사교육 수요와 그 비용이 크게 줄지는 않을 것이다. 명문고에 대한 수요가 여전히 존재하는 한 외고가 폐지되어도 지금의 자사고나 자율고 등이 또 다른 명문고의 위치를 차지하게 될 것이다. 결국 이름만 바뀔 뿐 명문고는 여전히 존재할 것이므로 이를 위한 사교육 수요는 크게 줄지 않을 것으로 본다. 마지막으로 본인이 생각하는 사교육 정책의 대안이 있다면 말해 달라. 우선 공교육과 사교육을 나누고 사교육을 부정적으로만 보는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야 한다. 고액과외, 조기유학, 고액 수강료를 받는 불법학원에 대해서는 더욱 단속을 강화해야 한다. 문제는 이들에 대한 단속이 부족하다는 데에 있다. 대다수의 합법적인 학원에 대해서는 단속이 아니라 학원만이 가진 노하우와 경험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부족한 학습을 보조하고 특기와 소질을 계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공교육의 동반자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정책의 방향이 바뀌기를 바란다.
    • 칼럼·피플
    • 에듀人포커스
    2009-11-05
비밀번호 :